커버스토리=은퇴 준비

국민연금 받아 생활비 충당 기대, 정부 노인복지 정책은 ‘낙제점’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지난 3월15일 열린 한경 머니로드쇼에서 한 참석자가 재무상담을 받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지난 3월15일 열린 한경 머니로드쇼에서 한 참석자가 재무상담을 받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언제부터 노후를 준비해야 할까. 경제활동이 주춤해지고 은퇴가 눈앞의 일로 다가오기 시작하는 50대의 머릿속에 늘 맴도는 주제 중 하나다.

대부분의 은퇴 설계 전문가들은 50대 초반부터 이후 10년간의 기간을 ‘노후 준비의 골든 타임’으로 꼽고 있다. 50대를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 향후 20~30년의 노후 생활의 질이 갈리게 된다. 2016년 대한민국의 50대들은 은퇴 이후의 삶을 어떻게 대비하고 있을까.

2013년 4월 ‘고령자 고용촉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60세 정년이 의무화됐다. 개정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만 60세 이전에 정년을 이유로 한 퇴직은 부당 해고에 해당한다.

◆은퇴 희망 연령은 ‘61~65세’

‘60세 정년 의무화’ 제도는 지난 1월부터 상근 근로자 3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다. 근로자가 300명 미만인 사업장은 2017년부터 60세 정년이 법적으로 보장된다.

법적 정년은 60세이지만 이번 설문 조사에서 대한민국 50대가 희망하는 은퇴 연령은 이보다 높았다. 50대 응답자 29.6%가 희망하는 은퇴 연령으로 61~65세를 꼽았다. 이어 65~70세가 23.7%, 법적 정년인 60세가 20%, 70세 이상이 12.5%, 55~59세가 11.5%, 55세 미만이 2.7% 순으로 집계됐다.
[대한민국 50대 리포트] 은퇴 준비 '골든 타임' 놓칠라…"구체적 계획 갖고 준비 중" 8.6% 그쳐
실제 은퇴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령은 61~65세가 25.3%를 기록해 가장 지목률이 높았다. 이어 60세 22.2%, 55~59세 18.5%, 65~70세 15.3%, 55세 미만 10.1%, 70~75세 4.6%, 75세 이상 4%로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 ‘전원주택’ 여성 ‘아파트’ 거주 희망

50대가 바라보는 은퇴 희망 연령과 은퇴 예상 연령 모두 60대 초반이다. 하지만 실생활에선 ‘50대 은퇴’가 공식처럼 자리 잡고 있다. 대한민국 50대는 눈앞의 현실이 될 은퇴 후 생활을 어떤 식으로 계획하고 있을까.

안타깝게도 은퇴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행하고 있는 50대는 그리 많지 않았다. 이번 설문에서 ‘구체적인 은퇴 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해 50대 응답자의 39.2%가 ‘막연한 은퇴 계획만 갖고 있다’고 답했다.

‘은퇴 계획을 전혀 세우지 못했다’는 응답 또한 29.8%에 달했다. 이어 ‘구체적 계획은 있지만 준비를 못하고 있다’는 응답(22.4%)이 뒤를 이었다. 구체적 계획을 가지고 이를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8.6%에 불과했다.

은퇴 후 생활비는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등 연금으로 충당하겠다는 이들이 많았다. ‘은퇴 후 자금 조달 계획’을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35.7%가 국민연금을 꼽았다. 이어 저축(22.9%)·개인연금(17.1%)·부동산(12.6%)·퇴직금(8.8%)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게 기대겠다는 50대는 전체 응답자 중 1.2%에 불과했다. 대한민국 50대 대부분이 연금 외에는 뚜렷한 수입처가 없는 상황이지만 ‘은퇴 이후 자녀에게 기대지 않겠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자신의 은퇴 준비에 대한 만족도 또한 낮은 편이다. 50대 응답자의 34.1%가 자신의 은퇴 준비에 대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보통(31.9%), 매우 부족(26.9%) 순이었다. 만족(5.9%)과 매우 만족(1.2%) 등 긍정적인 평가는 드물었다.

은퇴 이후에 거주 희망 지역으로는 수도권과 서울, 지방 대도시 등 도시 지역을 꼽는 이들이 많았다. 수도권 (26.5%)·서울(22.3%)·지방 대도시(17.8%)에 비해 농어촌(16.9%)·소도시(14%)를 꼽는 비율이 더 낮았다.

지역별로 보면 거주지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현 거주지에 머무르고 싶어 하는 이들이 많았다.

실제로 서울에 거주하는 50대는 서울(52.7%)·수도권(21.1%)·농어촌(11%) 순으로, 인천·경기 지역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50대는 수도권(56.9%)·농어촌(15.6%)·소도시(14.9%) 순으로 은퇴 후 희망 거주 지역을 꼽고 있다. 이 밖에 대구·경북 지역과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50대는 지방 대도시(54.1%)를 은퇴 후 살고 싶은 곳으로 꼽았다.

또 ‘은퇴 후 살고 싶은 주거 형태’로는 응답자의 44%가 아파트를 꼽았다. 전원주택을 원한 사람은 34.5%로 나타났고 단독주택은 17.7%, 빌라는 3.8%였다. 50대 남성은 전원주택(39%)·아파트(37.2%)·단독주택(20.6%) 순으로 선호하는 반면 여성은 아파트(50.8%)·전원주택(30%)·단독주택(14.8%) 순으로 선호했다.

남성은 전원주택에서의 여유롭고 독립적인 은퇴 생활을 바라는 반면 여성은 아파트에서 쇼핑과 교통 등 일상생활이 편리한 은퇴 생활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0대에게 은퇴 후 노후 대비는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다. 50대가 아무 계획 없이 갑작스레 은퇴를 맞게 되면 그에 따른 정신적·경제적 충격이 개인이 아닌 가족 단위로 퍼진다. 이 같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은 제대로 갖춰져 있을까.
[대한민국 50대 리포트] 은퇴 준비 '골든 타임' 놓칠라…"구체적 계획 갖고 준비 중" 8.6% 그쳐
◆노후 생활 자금 지원 정책 확충 해야

일단 ‘한국의 노인복지 및 일자리 정책’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살펴보면 50대가 내린 평가는 부정적이었다. 50대 응답자가 ‘한국의 노인복지 및 일자리 정책’에 대해 내린 평가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40.9점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남성은 평균 40.5점, 여성은 41.4점을 부여했다. 직장인과 비직장의 점수 차이도 그리 크지 않다. 50대 직장인 응답자(679명)는 평균 41.7점을, 비직장인 응답자(321명)는 39.3점을 부여했다.

앞으로 더 확충이 필요한 노인 정책으로는 응답자의 37.3%가 생활 자금 지원 정책을 꼽았다. 또 노인을 위한 일자리 마련은 36.3%, 의료비 지원 정책은 18.3%, 간병비 지원 정책은 4.3%, 주거 지원 정책은 3.8%로 나타났다.

한경비즈니스=조현주 기자 cho@hankyung.com

시간 내서 보는 주간지 ‘한경비즈니스’ 구독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