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 스토리 = 2018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 외교·안보 부문]
3년 연속 이어진 ‘톱5’ 체제, 7개 대학 부설 연구소 약진


[한경비즈니스 = 차완용 기자] ‘2018 100대 싱크탱크’ 외교·안보 부문 ‘톱5’의 울타리는 탄탄했다. 5위권 내에서 엎치락뒤치락했지만 3년 연속 ‘그들만의 리그’를 형성하고 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이하 외교안보연구소)·통일연구원·세종연구소·한국국방연구원·아산정책연구원 등이 그 주인공이다. 사실상 이들이 현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명실상부한 외교·안보 부문 최고의 두뇌 집단이다.

이 중에서도 ‘2016 100대 싱크탱크’ 조사 때부터 이름을 올린 아산정책연구원을 제외한 4곳은 사실상 붙박이다. 조사가 진행된 이후 5위권 밖으로 밀려난 적이 없다.
[100대 싱크탱크] ‘난공불락’ 외교안보硏…10년 연속 ‘1위’
(사진)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조사 시작 이래 외교·안보 부문에서 단 한번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의 백지아 소장./ 이승재 차장


◆ 통일硏·세종硏 2년 연속 2·3위 수성

올해 조사 역시 지난 조사와 마찬가지로 외교안보연구소가 1위를 차지했다. 조사가 시작된 이후 단 한 번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10년 연속’이다. 싱크탱크 조사의 3대 평가 항목인 ‘대외적 영향력’, ‘연구 보고서의 질’, ‘연구 인력의 역량’ 모두에서 1위를 차지했다.

외교안보연구소는 외교부 국립외교원 산하 기관으로 1977년 설립된 외교안보연구원이 전신이다. 이후 2012년 외무공무원법 개정에 따라 국립외교원이 설립되면서 지금의 외교안보연구소로 자리 잡았다.

외교안보연구소의 정책 연구 활동은 지역과 기능에 따라 5개의 연구부(안보통일연구부·아시아태평양연구부·미주연구부·유럽아프리카연구부·경제통상연구부)와 4개의 연구센터(중국연구센터·외교사연구센터·국제법센터·일본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5개의 연구부에선 국제 안보·북핵 등 남북 관계를 비롯해 한·미 동맹 등 대미 관계, 중남미·유럽·러시아·중동 등의 지역 이슈, 글로벌 거버넌스·기후변화·공적개발원조(ODA)·자유무역협정(FTA) 같은 정치·경제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4개의 전문 연구센터에서는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종합적·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중국연구센터·일본연구센터에서는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종합적·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한·중, 한·일 간 관계 발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외교안보연구소는 한국 외교를 대표하는 싱크탱크인 만큼 조직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2012년 당시 2개(중국연구센터·외교사연구센터)의 연구센터를 운영했지만 지금은 2개가 더 늘었다.

조직이 확대된 만큼 박사급 이상의 외교통상 전문 연구원 풀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4년 조사 당시 연구원은 15명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50명의 인력이 자리하고 있다.

2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통일연구원이 차지했다. 2015년 조사부터 총 4회 연속 2위다. 국책 연구 기관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인 통일연구원은 통일 정책과 북한, 국제 관계 등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통일연구원은 남북 관계를 입체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의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통일 방안을 수립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북한·중국·러시아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주요 과제다. 최근 북핵 문제와 중국과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갈등 등으로 인해 역할론이 커지는 상황이다. 현재 93명의 인력이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3위는 안보·통일·외교 분야 최고의 민간 연구소인 세종연구소가 이름을 올리며 지난해 등수를 유지했다. 대외적 영향력과 연구 인력의 역량에서 통일연구원에 뒤처졌지만 연구 보고서의 질 항목에서는 성적이 더 좋았다.

세종연구소는 지난해 미국 국방문제연구센터(C4ADS)와 공동으로 북한의 ‘외환 거래 효과’라는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세계적으로 이목을 끌었다. 현재 25명의 내부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다. 또 외부 전문 인력을 연구 사업에 참여시키는 객원 연구위원 프로그램을 통해 내부 연구진의 연구를 보완하고 전문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있다.

4위는 정부 출연 기관인 한국국방연구원에 돌아갔다. 지난해보다 1계단 상승했다. 국방연구원은 1979년 출범한 국방관리연구소가 모태다. 1987년 한국국방연구원법이 제정되면서 독립적인 국방 정책 연구 기관으로 재탄생했다.

국방연구원은 매년 100여 개의 연구 보고서를 낼 정도로 왕성한 연구 활동으로 유명하다. 연구 인력 풀만 해도 332명에 이른다. 연구는 안보 환경 분석, 군사력 건설 방안, 무기 체계 정책, 인적·물적 자원 관리 정책, 국방 정보화 방안 등 국방 관련 전 분야에 걸쳐 있다.

5위는 아산정책연구원이다. 올해 조사에서 국방연구원과 자리를 바꿨다. 세종연구소와 함께 안보·통일·외교 분야 최고의 민간 연구소로 위상을 쌓아 가고 있다. 연구원 수는 51명이다.
[100대 싱크탱크] ‘난공불락’ 외교안보硏…10년 연속 ‘1위’
◆ ‘잔잔한 변화’ 속 대학 싱크탱크 ‘약진’

5위권 밖부터는 모든 싱크탱크들이 순위를 바꿔 앉았지만 큰 폭의 변화는 없었다. 10계단 이상 상승한 싱크탱크가 단 한 곳도 없을 정도다. 가장 많은 변화 폭이 9계단 상승한 한국전략문제연구소(13위)와 성균중국연구소(18위)다.

국가 안보와 군사 전략에 관한 연구를 주로 하는 민간 연구기관 전략문제연구소는 최근 북핵 위협에 대응해 각종 보고서를 발행함으로써 영향력을 높였다. 연구 보고서의 질 평가 항목 점수만 놓고 보면 10위권 내 순위다.

성균중국연구소 역시 지난해부터 논란이 되고 있는 사드 문제와 한·중 관계 악화에 대응해 많은 보고서를 작성했고 이를 기반으로 순위 상승을 이끌어 냈다. 특히 성균중국연구소의 순위 상승은 큰 이목을 끌고 있다.

지난해 조사에서 처음 이름을 올린 이후 보인 큰 폭의 순위 상승이다. 반면 하락 폭이 가장 큰 싱크탱크는 동아시아재단으로 지난해에 비해 7계단 하락한 25위를 차지했다.

6~10위권 내 싱크탱크 중에는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6위),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7위)가 각각 2계단, 4계단 상승했다. 동아시아연구원(8위)·국가안보전략연구원(9위)·제주평화연구원(10위) 등은 소폭 하락했다.

한편 올해 조사에서는 대학 부속 싱크탱크들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2계단),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4계단),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3계단),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5계단), 서울대 국제학연구소(4계단), 성균중국연구소(9계단),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3계단) 등 7개 대학 부속 싱크탱크들이 순위 상승을 이끌어 냈다.

cwy@hankyung.com


[2018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커버 스토리 기사 인덱스]
- [경제·산업 부문] KDI, 6년째 1위…'대표 싱크탱크'
- [정치·사회 부문] "지금은 복지 시대" 보사硏 7년 연속 1위
- [외교·안보 부문] '난공불락' 외교안보硏…10년 연속 '1위'
- [여성·노동 부문] 노동연구원, 6년 연속 최강자 등극
- [ 환경 부문] '미세먼지 예보' 국립환경과학원 1위
- 2018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총괄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