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도 공적연금 투자 한도 늘린 후 증시 상승세

7월 말 2080까지 상승했던 코스피 지수가 8월에는 2050을 중심으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8월 6일 발표된 정부의 세법 개정안이 기대 이하였고 중국의 7월 홍콩상하이은행(HSBC)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전망치를 밑도는 점이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2014년 세법 개정안은 기업소득 환류 세제에 대한 실망으로 평가절하되고 있지만 배당소득 증대 세제 등의 효과로 상장 기업의 배당성향이 30% 가까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향후 세법 개정안에 대한 평가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8월 발표된 중국의 경기지표는 다소 실망스럽지만 하반기 중국 경기는 당국 정책 의지에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인민은행은 상반기 지급준비율 인하를 통해 긴축에서 경기 부양으로 통화정책 변화 의지를 표명했다. 당장 발표된 지표 결과에 실망하기보다 향후 발표될 정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경환 부총리의 ‘최노믹스’는 가계 소득 증대와 가계 안정을 통한 내수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8월 6일 발표된 ‘2014년 세법 개정안’이 기업의 수익이 가계 소득 개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고리였다면 8월 27일 발표된 ‘퇴직연금 종합 대책’은 가계 안정을 위한 자산시장 부양 정책 중 하나로 해석된다.


10조 원 자금 증시 유입
또한 2014년 세법 개정안은 기업소득 환류 세제(5조6000억 원), 배당소득 증대 세제(3조 원) 및 정부의 배당 확대 정책으로 상장 기업의 배당 규모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세재 개편 효과로 향후 상장 기업의 현금 배당 규모가 26조1000억 원(순이익 90조 원 가정)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럴 경우 한국 소비와 성장률은 각각 0.5% 포인트와 0.3% 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의 맥] 퇴직연금의 주식 투자 확대에 주목하라
현재 87조5000억 원 규모 퇴직연금의 주식 비중 확대가 예상되고 있어 긍정적이다. 현재 퇴직연금제도의 문제는 과도하게 위험 자산의 투자를 제한하고 있어 저금리 시대의 연금 수익률이 제로에 가까운 수준이어서 수익률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진국의 퇴직연금은 주식 투자 비중이 50%가 넘는 경우도 많아 국내 퇴직연금의 주식 투자 비중 확대 당위성은 충분하다. 지난 8월 10일 일본 공적연금인 GPIF가 주식 투자 비중을 확대한다는 소식에 닛케이 지수는 다음 날 2% 이상 상승했고 이후 상승 추세를 기록하고 있다.

퇴직연금의 제도 개선을 통해 주식 투자 비중을 확대한다면 단기적으로 10조 원 규모의 자금이 증시로 유입될 수 있다. 단기적 효과뿐만 아니라 매달 상당 규모의 자금이 지속적으로 주식시장에 유입된다는 점이 특히 긍정적 요인이다. 매달 퇴직연금으로 평균 2조 원 이상의 자금이 유입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증시의 긍정적 요인으로 해석된다.

8월 정책에 대한 실망 이후 코스피가 2050 선을 중심으로 하락했지만 퇴직연금제도 개선과 향후 최경환 경제팀의 자산시장 부양을 위한 정책 모멘텀 기대로 코스피 박스권은 2050~2100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주 투자 전략은 코스피 반등 국면에서 시장 수익률을 웃돌 수 있는 고베타 업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경기 민감 업종, 시장 대비 상대적으로 베타가 높고 실적 가시성도 양호한 증권, 건설과 철강 업종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반면 저베타 업종으로 지수 상승 국면에서 시장 수익률을 밑돌 것으로 예상되는 내구소비재·의류, 음식료·담배와 헬스 케어 업종의 비중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


김중원 메리츠종금증권 애널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