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아이디어] ‘리스크’ 키우는 중국 은행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 ] 중국과 관련한 우려들은 지난 몇 년간 도돌이표를 맴돌듯이 반복돼 왔다. 이런 위기론 역시 시장의 쏠림을 방지해 주는 주요 요소이기 때문에 무작정 외면할 일만은 아니다.

도이치뱅크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1990년대 후반 한국과 태국, 2000년대 후반 미국에는 공통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세 국가 모두 위기에 빠지기 전에 은행 신용 증가율과 광의통화(M₂) 증가율 간 차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지금 중국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중국의 현재 은행 신용 증가율은 25% 내외로 M₂증가율 12%의 두 배에 달한다. 이에 대해 도이치뱅크는 은행들이 금리 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상쇄하기 위해 대출을 늘렸지만 대출을 받아간 사람들이 실물경제보다 금융자산에 이 돈을 유입하고 있어 발생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자산의 거품, 실물 자산의 부실을 초래할 수 있을 만한 이슈라는 사실을 상기시킨 셈이다. 중국 내 기업들의 부도율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 짚고 넘어가야 할 이슈다.

중국 신용 증가에 대해선 우려스럽긴 하지만 크게 걱정할 만한 이슈는 아니다. 당장 은행권 부실이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다. 중국 은행은 정부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태국·미국은 민간은행 부실이 문제가 된 사례다.

중국 정부는 여전히 3조2000억 달러의 외화보유액을 가지고 있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도 43%에 불과하다. 유럽연합(EU)에서는 적정 국가 채무를 60%라고 제시한 바 있다.
은행권 부실이 가시화된다면 중국 정부가 나서 자금을 수혈해 줄 수 있다는 의미로 과거 한국·태국·미국처럼 민간은행의 부실이 은행 및 국가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이 낮다는 점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