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수익만 1조1271억원

글로벌 주식시장 호조에
해외 주식에서 20% 수익률

16조원 굴리는 사학연금, 상반기 수익률 8.5% 비결은?
8.5%. 올 상반기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사학연금)이 받아든 기금 운용 평잔 수익률이다. 이를 통해 얻은 수익금만 1조1271억원에 달한다. 2018년 미·중 무역 분쟁 등으로 글로벌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며 마이너스 수익률(-2.45%)을 기록했던 사학연금은 올 상반기 수익으로만 지난해 4000억원의 손실을 털어내는 데 성공했다. 사학연금이 올 상반기 이처럼 좋은 성적표를 받아든 데는 지난해와 비교해 올 상반기 동안 미·중 무역 분쟁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던 것과 함께 미국의 기준금리 동결 등에 따라 투자 심리가 회복된 영향이 컸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최근 크게 변화된 사학연금의 자산 관리 운용 전략이 결실을 봤다는 분석이다. 핵심만 말하면 해외투자와 대체 투자의 확대다.

◆ 2023년까지 해외투자 39.2%로 확대

사학연금이 굴리는 운용 자산은 2018년 말 기준으로 총 19조2565억원에 달한다. 이 중 채권과 주식 등에 투자하는 금융자산은 16조312억원이다. 국내 공적기금 중에서도 초대형 기금에 속한다.

사학연금이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한 2018년 기준 자금 운용 현황을 보면 전체 금융자산 중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한 부문은 37.1%를 차지하는 국내 채권이다. 그다음 국내 주식에 21.5%, 해외 주식에 14.1%, 국내 대체 투자에 10.7%를 투자하고 있다. 국내 채권과 국내 주식 등에 대한 투자가 58.6%에 달하는 만큼 사학연금의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국내에 집중된 것처럼 보인다.
16조원 굴리는 사학연금, 상반기 수익률 8.5% 비결은?
하지만 최근 사학연금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의 변화는 2014년 이후 연도별 자금 배분 비율을 살펴보면 조금 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2014년 사학연금의 국내 채권 투자는 49.7%에 달했지만 2018년 35.4%까지 줄었다. 이와 비교해 국내 주식은 같은 기간 23.6%에서 26%로 소폭 늘었고 해외 채권 또한 4.3%에서 6.2%로 증가했다. 가장 눈에 띄게 비율이 높아진 투자 부문은 해외 주식과 대체 투자다. 2014년 기준 각각 5.1%, 15.4%였지만 2018년 기준 각각 13.2%, 17.7%로 크게 늘었다. 안전 자산 중심의 투자에서 벗어나 위험 자산의 비율을 높이고 이와 함께 국내에 집중된 투자 자산의 비율을 조금씩 해외투자 자산으로 옮겨 가는 흐름이 선명하다.
16조원 굴리는 사학연금, 상반기 수익률 8.5% 비결은?
자산 배분 변화의 성과는 올 상반기 수익률에서 증명됐다. 2019년 6월 말 기준으로 사학연금 해외 주식 부문의 수익률은 19.33%에 달한다. 여기에서 벌어들인 금액만 4603억원이다. 그다음 높은 수익률을 거둔 부문은 외 채권으로 11.31%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대체 투자 또한 수익률 6.11%의 성과를 냈다.

사학연금 관계자는 “올 들어 특히 해외 주식을 중심으로 기금 운용 수익률이 개선되는 추세”라며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며 자산 배분의 단기적인 비율 조절(4~5%포인트)을 통해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말 사학연금의 향후 5년간(2019~2023년) 자산 배분 전략을 재설정한 데 따른 것이다. 사학연금은 금융시장의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8년부터 중·장기 전략적 자산 배분을 일관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 단위로 재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사학연금은 지난해 기준 29.6%(채권·주식·대체 투자)의 해외투자 비율을 2023년까지 39.2%로 높이겠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국내 채권과 해외 채권의 비율을 2023년 각각 30.3%와 3%까지 낮추고 해외 주식 투자와 대체 투자의 비율을 각각 19.5%, 16.5%까지 높일 계획이다. 중·장기 전략적 자산 배분에 따른 목표 수익률은 연 4.3%다.
16조원 굴리는 사학연금, 상반기 수익률 8.5% 비결은?
2019년 2월 발표된 사학연금의 ‘자산 운용 지침(IPS)을 살펴보면 자산 운용과 관련한 변화를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중 눈에 띄는 부분은 장기적 운용 목표를 중심으로 한 전략적 자산 배분과 단기적 시장 대응에 해당하는 전술적 자산 배분의 허용 범위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중·장기 자산 배분의 방향은 해외투자(해외 주식·해외 채권)와 대체 투자(국내·해외) 비율 확대를 중심으로 하되 자산 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자산 배분 비율 변동 허용 범위 내에서 자산군별 배분 비율을 조정(전술적 자산 배분)하는 것이다.

실제로 사학연금이 올해 해외 주식 부문에서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데는 올해 연초부터 글로벌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보이며 해외투자 비율을 높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자금을 투입한 것이 밑거름이 됐다. 올 상반기 사학연금에서 해외 주식에 투자한 금액은 총 2조4906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2200억원 가까이 늘었다. 코스피지수는 올 들어 6월 말까지 2040선에서 2130선까지 4% 상승한 반면 글로벌 주식시장(MSCI ACWI 인덱스, 달러 기준)은 같은 기간 15% 정도 오른 것을 감안하면 해외 주식 투자 비율 확대에 중점을 둔 사학연금의 전략이 적중한 셈이다. 사학연금은 해외 주식 투자 부문에서 패시브 자금의 경우 미국과 유럽의 주요 지수를 동반 추종하는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에 많은 자금을 투자하고 있고 액티브 자금은 미국 정보기술(IT) 종목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대체 투자 핵심은 ‘투자 전략 다변화’

공격적인 해외 투자 비율 확대와 함께 지난해부터 환 노출 전략을 택한 것도 한몫했다. 사학연금 IPS에 따르면 환 헤지 정책과 관련해 해외 주식의 환 헤지 비율을 0%, 해외 대체 투자의 한 헤지 비율은 원칙적으로 0%로 두고 있다. 다시 말해 해외 주식과 대체 투자의 모든 자산에 대해 환 오픈이 가능해진 것이다. 사학연금은 그 덕분에 올 상반기 달러 강세 수혜까지 더해져 대략 5~6%포인트 수준의 수익률 향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사학연금은 대체 투자 부문과 관련해서도 향후 공격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5월 조직 개편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사학연금은 지난해 5월 자금운용관리단 직제 개편을 통해 기존 1실7팀이었던 조직을 2실(증권운용실·대체투자실) 5팀(투자전략·채권운용·주식운용·해외증권·국내대체팀) 1파트(해외대체파트)로 손봤다. 국내외 대체투자파트의 전문성을 높여 좋은 투자 대상을 발굴하는 데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다.

대체 투자 부문의 핵심 키워드는 ‘투자 전략 다변화’다. 지난 6월 말까지 국내 대체 투자 부문에 투자한 금액은 3조6305억원 정도다. 사회간접투자(SOC)와 인프라 부문에 대한 투자가 전체의 40% 정도로 비율이 가장 높고 사모투자(PE) 27%, 부동산 투자가 25% 정도를 차지한다. 사학연금은 향후 기존 지분 투자 위주이던 PE 부문의 투자 대상을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메자닌(Mezzanine)과 인수금융 그리고 부실채권(NPL) 등으로 넓히겠다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이와 함께 리스크 분산을 위해 오피스빌딩에 외에 리테일과 물류 자산으로 투자처를 넓혀 나갈 방침이다.

해외 대체 투자는 물류(로지스틱스)·임대주택(멀티패밀리)·호텔·오피스 빌딩 등에 고루 투자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학연금은 지난해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37층짜리 오피스 빌딩인 갈릴레오빌딩을 매각해 300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이 건물은 사학연금이 2013년 535억원을 들여 매입했던 것으로, 연간 10% 이상의 수익을 안겨준 바 있다.

한경비즈니스 이정흔 기자 vivajh@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38호(2019.08.19 ~ 2019.08.25)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