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칠두 북방경제인연합회 회장-오는 12월엔 북한 경제인 초청 포럼 개최 예정...“남북 경협 활성화 기대”
“북방 경제권 진출은 경제 재도약 위한 중요한 기회”
[한경비즈니스=김정우 기자] 문재인 정부는 북방 지역 국가들과의 경제·정책적 협력을 강화하는 ‘신북방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경제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함과 동시에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의 토대를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정부 정책에 발맞춰 기업인 중심의 사단법인인 ‘북방경제인연합회(이하 북경연)’가 올해 5월 출범했다. 참여정부 시절 산업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을 맡아 개성공단 조성 관련 실무를 담당했던 김칠두 회장이 초대 최장으로 자리해 북경연을 이끌고 있다.

김 회장은 “북방 경제권 진출에 관심을 갖는 기업들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원 업무를 수행할 중추적 기관이 필요하다고 느꼈다”며 설립 배경을 밝혔다.
북경연은 최근 다양한 남북 경협 관련 행사 개최 및 사업 참여 추진 계획을 밝히며 활발한 행보를 펼치고 있다. 특히 올해 12월에는 최초로 북한의 경제 분야 인사들을 남측에 초청하는 포럼을 열 계획이라고 밝혀 이목을 쏠리게 했다.


-북경연을 출범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북방 경제권은 러시아 극동지역과 랴오닝성·지린성·헤리룽장성 등 중국의 ‘동북 3성’ 그리고 북한을 포함하는 경제권을 의미합니다. 이 지역의 인구는 1억3000만 명에 달해요. 생산성이 높은 질 좋은 노동 인력이 있는 셈이죠. 또 이 지역의 면적은 한반도의 30배가 넘는 광활한 규모를 자랑합니다. 이렇게 넓은 면적에 우리에게 부족한 풍부한 천연자원과 지하 광물이 있어요. 최근 각국 중앙정부 차원에서 대규모 지역 개발도 추진되고 있어 더욱 주목되는 상황이죠.

정부가 신북방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입니다.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발전의 마지막 블루오션 지역이 될 지역이 바로 북방 경제권이라고 볼 수 있죠. 해당 경제권 진출에 관심을 갖는 기업들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원 업무를 수행할 중추적 기관이 필요하다고 느꼈고 그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 북경연이 출범했습니다.”
-북경연은 구체적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나요.

“북경연의 주요 추진 사업은 북방 경제권의 개발 프로그램 참여, 남북 경협을 통한 북방권역 교두보 확보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중앙정부 차원의 협조를 통해 대규모 개발 사업 참여와 민간 기업 간의 교류와 협력을 키워 나갈 구상을 그리고 있어요. 북한은 도로·철도·항만·공항·산업단지조성·가스·자원개발 사업 참여를 계획 중입니다.
특히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를 통한 삼각교역이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남북 협력을 위해서라도 북방 지역과의 협력 역시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현재 이사는 4명이고 중견기업 중심으로 20개 회사가 가입했습니다. 또 3명의 고문 위촉을 마쳤어요.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와 정홍섭 부산 동명대 총장을 정책고문, 허진호 변호사를 법률고문으로 선임했죠. 그리고 9·18 평양 남북 정상회담을 수행한 포스코 회장과 한국전력 사장을 비롯해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 회장들을 명예고문으로 위촉하기 위한 승낙서를 발송했어요. 전반적인 조직 운영 구성을 12월 이전에 완료할 계획입니다.”
-특히 최근 북한과의 다양한 경제협력 추진 방안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설립 당시만 해도 남북 관계가 좋지 못해 북경연의 활동에 대한 우려가 많았어요. 하지만 이후 남북 관계가 급진전되면서 남북 경협이 주된 관심사로 등장하기 시작했죠. 이런 상황에 발맞춰 남북 경협과 관련한 다양한 계획을 수립한 상태입니다.

우리 협회가 당면한 대북 추진 사업은 현재 크게 3가지로 요약됩니다. 우선 연말 북한 경제 전문가를 남한에 초청해 북방경제포럼을 열 계획이죠. 또 북한 강령 국제 녹색 시범구 개발 사업 참여 계획을 갖고 있고 마지막으로 북한 민둥산 나무 심기와 무연탄 공장 설립 사업 등을 추진 중입니다.”
-그중에서도 북한과 관련한 중점 추진 사업으로 ‘강령 국제 녹색 시범구 개발 사업’을 제시했습니다.
“강령 국제 녹색 시범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등장 이후 처음 발표된 대규모 경제구입니다. 계획 면적만 1억300만㎡로 개성공단의 1.5배 규모죠. 골프장과 호텔 건립 계획도 있고 또 북한의 다른 경제특구와 달리 5만㎾의 발전소 건설도 계획하고 있죠. 지리적으로 보더라도 연평도 등 인천시와 근접한 지역입니다.

2013년 그 계획을 내놓았지만 투자 유치 실패와 제재 등으로 인해 구축이 지지부진한 상황이어서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죠. 규모로 보면 신의주경제특구나 나진선봉특구 못지않은 규모를 가지고 있고 계획 내용에서도 다양한 부문이 포함됐는데 말이죠. 개인적으로 이 지역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중국의 선전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 그래서 관심을 갖고 향후 추진할 중점 사업으로 제시했습니다.”
-여전히 일각에서는 남북 경협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도 존재합니다.
“남북 경협은 북측에 일방적 지원으로 생각해 퍼주기로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강조하고 싶어요. 이번에 우리 북경연이 남북 경협의 주관 기관으로 나서려고 하는 것은 북한이 정상 국가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상 국가 간의 경제협력은 시장 원리에 따른 상호 이익에 그 기반을 두고 공개적이고 경쟁적인 절차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 국제적인 협력 기준이기 때문에 북경연의 남북 경협 사업도 철저히 이러한 기준 위에 이뤄질 것입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우리 경제의 현황을 보면 연 3%의 성장도 못할 정도로 성장 잠재력이 하락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우리의 주력 수출 시장인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중국·베트남·인도를 비롯한 후발 주자들의 시장점유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 볼 때 남북 경협은 일방적인 퍼주기나 지원이 아닌 상생의 바탕에서 남북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새로운 반전의 기회를 줄 것으로 생각합니다.”
-올해 12월 예정된 북방경제포럼 행사는 어떻게 진행할 계획입니까. 또 어떤 북측 경제인들을 초청할 예정인지 궁금합니다.
“북한의 경제 분야 인사들이 남측의 경제포럼에 참석하는 계획은 처음 시도하는 일이죠. 원래는 10월 16일 개최를 계획했었는데 이런 행사가 처음이다 보니 포럼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보다 충분한 준비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들었어요. 그래서 개최 일정을 12월 13일로 변경했어요. 서울 양재동에 있는 ‘더 케이호텔’에서 열기로 했습니다.

‘새로운 남북 경협 어떻게 준비하나’를 주제로 수출입·물류·관광 분야, 산업단지 조성 분야, 에너지 자원 개발 분야 등에 대해 국내 석학들이 발표할 계획입니다. 북한에서 누가 올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데 북측의 정부 또는 기관의 경제 전문가를 포함한 15명 내외를 3박 4일 정도 초청할 계획입니다.

9·18 평양 남북 정상회담 시 남측 경제인들을 접견한 북측 경협 책임자들에 대한 포럼 초청 의사를 현재 관계 당국에 요청했습니다. 경협에 대해 남북이 전반적인 협조 분위기로 가고 있는 만큼 북측에서도 우리의 방남 초청에 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enyou@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196호(2018.10.29 ~ 2018.11.04)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