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주 52시간 근로’ 업종별 50문 50답]


[주 52시간 시대] 전기·전자, 유연근무제 확대...협력업체 부담 우려



[한경비즈니스=이명지 기자] 전기·전자업계는 올 초부터 시범 운영을 통해 노동시간 단축에 대비해 왔다. 특히 재계 1위 삼성전자가 내놓을 대책에 관심이 쏠리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주 단위 ‘자율 출퇴근제’를 월 단위로 확대한 ‘선택적 노동시간제’와 근무에 대한 재량을 부여하는 ‘재량근로제’를 7월 1일부터 도입한다. 이는 ‘유연근무제’의 일환이다. 선택적 노동시간제는 주 40시간이 아닌 월평균 주 40시간 내에서 출퇴근 시간과 노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업무 수행 수단이나 노동시간 관리에 대해 직원에게 재량을 부여하는 ‘재량근로제’는 해당 업무 중 특정 과제 수행 인력에 한해 적용하고 구체적 과제나 대상자는 별도로 선정한다. 이러한 새로운 노동시간 제도는 개발직과 사무직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제조 부문은 여름철 에어컨 성수기 등에 대비하기 위해 3개월 ‘탄력적 노동시간제’를 도입한다. 삼성전자는 앞서 2009년 ‘자율출근제’를 도입했고 2012년부터 이를 확대한 ‘자율출퇴근제’를 시행해 왔다.


LG전자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일부 사업본부에서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범 운영해 왔다. 또 사무직을 대상으로는 주 40시간 근무제를 시범 도입했다. 주 40시간 근무제는 월~금요일 하루 8시간씩 근무를 기준으로 LG전자는 여기에 자율 출근제를 적용해 직원들이 하루 4~12시간 중 원하는 만큼 일하도록 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2월부터 주 최대 52시간 근무제를 시범적으로 운영했다. 또 일부 조직에서만 시행하던 유연근무제도 3월부터 전사로 확대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규모가 큰 만큼 미리 시범 운영을 실시해 7월부터 큰 부작용 없이 제도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기업이 순차적으로 52시간 근무에 적응하고 있지만 이들과 거래하는 중소 협력사들에도 52시간 근무가 부작용 없이 시행될지는 미지수다. 재원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전기·전자제품의 주기를 맞추려면 노동시간 단축이 오히려 부담이 된다는 의견이다.


mjlee@hankyung.com


[커버스토리=‘주 52시간 근로’ 업종별 50문 50답]

-[주 52시간 시대] 내달부터 근로시간 단축, ‘저녁 있는 삶’ 가능할까
-[주 52시간 시대] 중소형 건설사 부담...해외 경쟁력 약화
-[주 52시간 시대] 문화·콘텐츠 특례 업종 제외, 밤샘작업 어쩌나
-[주 52시간 시대] 자동차, 연속 2교대 시행 중...특근수당 줄어 반발
-[주 52시간 시대] 물류, 1년간 적용 유예...물류 자동화 가속
-[주 52시간 시대] 전기·전자 유연근무제 확대...협력업체 부담 우려
-[주 52시간 시대] IT업계, 개발 사업 수행기간 부족
-[주 52시간 시대] 조선, 불황 여파로 야근 감소...시운전 등 특수 직종은 문제
-[주 52시간 시대] 정유·화학, 정기 보수 기간 차질 우려
-[주 52시간 시대] 항공업계 휴게시간 보장 의무화...운항 지연 시 혼란 우려
-[주 52시간 시대] 유통업계, 폐장시간 앞당겨...집중 노동시간 도입도
-[주 52시간 시대] 화장품·패션업계 ,생산직·영업직 노동시간 조정 확대
-[주 52시간 시대] 50문 50답 파트① "노동시간 단축" 퇴직금 중간 정산 사유로 인정
-[주 52시간 시대] 50문 50답 파트② "자발적 야근도 회사 책임"
-[주 52시간 시대] 50문 50답 파트③ 회사 대응법은?
-[주 52시간 시대] 워라밸 시대의 수혜주 ‘ERP·스마트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