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농의 시대 행복과 건강을 짓다

행복으로 좌표 이동, 돌아온 소농의 시대
[한경 머니=이현주 기자] 과거 사람들은 ‘성공’을 향해 도시로 몰려 왔다. 그리고 다시 시골로 향해 소박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행복’으로 좌표를 이동한 이들이다.

#1. 이미정 씨는 오래전부터 ‘내 손으로 장 담그기’에 대한 로망이 있었다. 콩 농사부터 지어 직접 담근 메주로 간장과 된장을 만들고 싶었다. 음식의 기본인 장류를 믿고 먹을 수 있으려면 직접 손으로 만드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해서다. 그는 서울에서 강원도 원주로 터전을 옮겼다. 약 1652㎡의 밭을 사 콩을 심고 감자와 같은 구황작물과 튤립 등 구근식물도 심었다. 옆에서 시키는 대로 씨를 뿌리다가 최근엔 농업기술센터에서 기초 농업을 공부하고 소규모 친환경 농사법도 연구하고 있다. 그는 저가의 친환경은 자급자족이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2. 백정림 씨는 고품격 식(食) 라이프의 기본은 좋은 식재료라고 생각한다. 제철 채소는 텃밭을 통해 수확하고, 과일이나 육류 해산물은 전국 곳곳의 산지에서 최고의 재료를 공수한다. 장인정신으로 농사에만 집중하는 소규모 농장들을 찾아 현지 직송으로 배송 받고 있다. 지리산 유기농 닭이 낳은 청란, 울진에서 공수한 갈치와 꽃게, 남해 마을에서 유기농으로 재배한 대저 토마토 등이다. 10년 넘게 단골로 거래를 하고 주변 지인들과도 ‘리스트’를 공유하며 생산자의 판로를 개척해주기도 한다.

건강한 식 생활에 대한 관심은 결국 재료에 모아진다. 세계적인 식 문화 선진국 사례를 볼 때 ‘미식의 끝’은 좋은 재료다. 도시 소비자들은 농산물의 생산 현장을 궁금해하고 ‘생산의 결과’뿐만 아니라 ‘생산의 과정’ 자체를 소비하려 한다.

‘얼굴 있는 농부’는 신뢰의 근거가 된다. 농부와의 교류를 통해 농사의 과정에 간접적으로 참여하려는 소비자가 늘면서 도시 소비자와 농촌 생산자의 물리적·심리적 거리가 좁아지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주로 그 통로가 된다.

‘꾸러미’는 전국에서 소규모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의 제품을 택배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다. 최근엔 서브스크립션 커머스(정기 배송 서비스)도 등장했다. 온·오프라인(O2O) 플랫폼은 전국의 숨은 농부들과 소비자를 연결한다.

내 텃밭에 직접 심은 재료, 내 손으로 지은 농사의 가치도 떠오른다. 전국의 도시 농업은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리고 텃밭에서 시작된 ‘자급’에 대한 관심은 ‘자급자족 라이프’에 대한 로망을 불러 일으킨다.

최근 개봉한 영화 <리틀 포레스트>는 소박한 자급자족 라이프를 소재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갓 수확한 재료로 만든 따뜻한 밥 한 끼의 위로는 자급농에 대한 도시인의 열망을 자극했다. tvN 예능 프로그램 <숲 속의 작은 집> 같은 문화 콘텐츠도 자급자족의 재발견을 다루고 있다.

한편 서울을 떠나 시골로 향하는 사람들이 있다. 늘어나는 귀농 인구 중에는 젊은 세대도 적지 않다. 도시에서 시골로 귀농을 하는 것은 진정한 자급농의 길로 이끈다. 가족이 함께 귀농하면 가족농이 된다. 이때 짓는 농사는 행태가 조금 다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박대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960, 1970년대 이후 오랜 기간 관행 농법에 의해 농사를 짓는 게 보편적이었다면, 도시에서 시골로 귀농을 한 사람들은 상당 부분 관행 농법에서 탈피해 자연 친화적인 농사, 소규모로 건강한 방식의 농사를 짓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생태 지향적, 가치 지향적 귀농에 따른 이른바 ‘돌아온 소농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들은 자급자족을 기반에 두고 소품종 대량 생산보다 다품종 소량 생산의 농사를 선호하며, 유기농을 포함한 친환경 농사로 건강한 먹을거리를 생산한다.

세계적으로도 소농(가족농)의 트렌드가 있다.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유럽이나 라틴아메리카 등에서도 소농의 인구는 늘어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전체적인 농가 수는 줄지만 새로운 귀농 인구로 인해 소농의 가치가 다시 조명되고 있다”고 말했다.

소농은 누구인가. 명확하진 않지만 규모로만 볼 때 약 1만㎡ 전후를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더 중요한 건 그들이 농사를 짓는 마음과 철학에 있다. ‘소유와 소비’의 논리가 지배하는 도시의 삶에서 탈피해 ‘생산과 자급’을 추구하는 데서 ‘적정 규모’의 농사와 자연 친화적인 방식의 농사가 나온다.

전 국민 식량 생산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한 농업은 이제 기능을 다변화하고 있다. 이제 생산 증대가 최고의 목표가 아니다. 공간 개념과 만나 자연경관을 경험하는 ‘에코 투어리즘’의 장이 되기도 하고 역사와 문화 자원이 있는 보전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규모를 늘려 가며 농사에 올인하는 형태가 아닌 작지만 의미 있는 농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생태, 관광 등의 키워드와 접목하는 게 돌아온 소농인들의 선택이다. 소농은 부농의 길과는 다르다. 농사의 목적 자체가 수익에 있지 않다. 이들은 수익보다 가치를 추구한다. 그 가치에서 수익도 창출된다. 도시의 소비자들 또한 철학이 있는 농사, 건강한 재료를 원하고 있다.

소농을 낭만적으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가치만 추구하고 살 수는 없어서다. 다만, 소농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보면 하나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단지 규모가 작다고 소농이 아니다. 삶의 방식, 지향의 전환이 있어야 소농으로 살아간다. 주체적인 삶, 생산적인 삶을 살아가는 이들은 도시에서와 같이 많은 소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과거 사람들은 ‘성공’을 향해 도시로 몰려 왔다. 그리고 다시 시골로 향해 소박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행복’으로 좌표를 이동한 이들이다. 돌아온 소농 시대는 ‘덜 소비하고 더 존재하는 삶’에 대해 말한다.

소농으로 자립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인 세 명의 소농인들을 만나봤다. 각각 반농반X, 토종, 공동체의 키워드로 돌파구를 마련한 이들이다. 그들은 가치와 수익의 두 마리 토끼를 추구하면서도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는데, 그것은 ‘멈춰야 할 때를 아는 것’이다. 한 길을 향해 무리하게 질주하기보다 적정한 수준에서 플러스알파의 가치를 창출하는 성장 방식을 추구한다. 그것이 중년 이후의 지속 가능한 삶에 대비하는 소농의 방식이다.
행복으로 좌표 이동, 돌아온 소농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