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노트]아파트 공화국에서 사는 법
[한경 머니=한용섭 편집장]프랑스의 지리학자이자 한국학 교수인 발레리 줄레조가 쓴 저서 <아파트 공화국>에는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던 씁쓸한 한국의 풍경들이 비춰집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가 곧 돈이자 계층으로 인식되고 있는 물신화 풍조, 아파트라는 집단 거주공간에서 파생된 특유의 배타성, 대규모로 건물을 짓고 30년도 안 돼 허물어뜨리는 엄청난 자원 낭비와 환경 파괴 등 ‘아파트 가격 급등’이라는 쌈빡한 뉴스에 가려진 단면들을 말이죠.

냉정하게 주위를 살피면 아파트에 살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죠. 같은 아파트에서도 평수 넓은 부자 ‘동’과 임대아파트 입주민들이 사는 임대 ‘동’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경계, ‘벽’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아파트 공화국’이 맞습니다. 통계청이 2017년 8월에 발표한 ‘2016 인구주택 총조사’를 보면 공동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파트는 1960년 조사 이래 처음으로 1000만 가구를 넘어섰으며(1003만 가구), 전체 주택 가운데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60.1%로 주택 10채 중 6채가 아파트인 셈입니다.

특히 한국경제신문 건물 인근에는 역사적인 아파트들이 즐비합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아파트로 꼽히는 서울 충정로의 충정아파트가 1932년 세워진 이래 여전히 건재하고, 서울시에서 미래유산으로까지 선정한 서소문아파트(1971년 건축)와 성요셉아파트(1971년 건축)도 가까운 거리에 있어 마치 이 일대가 아파트 유적지(?) 같은 분위기입니다.

지난 9월 13일 정부가 아파트로 대변되는 부동산 시장의 과열에 서슬 퍼런 칼날을 꺼내 들었습니다. 고가 주택 종합부동산세 인상, 다주택자 대출 차단 등의 카드를 꺼내 들며 최근 들어 무섭게 치솟고 있는 주택 가격을 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줬죠. 문재인 정부 출범 16개월 만에 벌써 8번째 꺼내든 ‘부동산 대책’입니다.

삶의 터전인 아파트이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가장 확실하게 ‘잭팟’을 터뜨릴 투자 상품으로 여겨졌고, 기형적으로 몸집을 불려 가는 부동산 가격에 월급쟁이 일반 서민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껴야만 했습니다. 정부의 어설픈 규제가 오히려 주택 가격 폭등이라는 악재를 불러왔다는 볼멘소리도 나옵니다. 정부 부처 간 손발이 안 맞는 마구잡이식 규제가 시장에서 신뢰를 잃으며 갈 곳 잃은 유동자금을 부동산 시장이라는 블랙홀로 불러 모았다는 것입니다.

한경 머니는 10월호 빅 스토리로 ‘초강력 규제 시대, 부동산 사용설명서’를 다룹니다. 가뜩이나 어수선한 부동산 시장에 부채질을 하는 것이냐고 오해를 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아파트 등으로 대변되는 부동산을 단순히 투자 대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투자는 물론 임대나 건물 관리, 노후 상속·증여 등까지 꼼꼼하게 따져보는 제대로 된 ‘부동산 사용설명서’를 제시해보겠다는 취지였습니다.

덧붙여 나만의 집을 짓는 중년들의 즐거움도 ‘나만의 집을 위한 특별한 DIY’라는 기사에 녹여 담았습니다. 결국 아파트나 일반 주택이나 부동산은 우리네 일상의 삶을 담는 터전임에는 분명하니까요.

[본 기사는 한경머니 제 161호(2018년 10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