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 어드바이저 피에르 스택스

아티스트와 컬렉터 사이에서 다리를 이어주는 아트 어드바이저.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한 개념이지만 변화무쌍한 아트 세계 시장에서 그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저명 아트 어드바이저로서 컬렉터이며 예술사학 교수, 비평가, 전시기획자인 피에르 스택스(Pierre Sterckx)가 한국을 찾았다. 그에게 작품 보는 혜안에 대해 물었다.
[THE COLLECTOR] “서도호·양혜규 작품에 주목하라”
슈퍼 컬렉터들이 아트 페어에 항상 대동하는 이들이 바로 아트 어드바이저다. 우리에게 친근한 할리우드의 슈퍼 컬렉터인 마돈나는 달렌 루츠라는 아트 어드바이저를 직접 고용해 미술품을 수집해왔다. 전용기를 타고 마이애미 아트 바젤을 방문하는 브래드 피트 또한 늘 아트 어드바이저와 함께였다. 거물급 컬렉터나 고용할 법한 아트 어드바이저는 최근 국내에서도 컬렉터 그룹이 형성되면서 이들을 주축으로 새롭게 영역을 구축 중이다. 지난 키아프(KIAF) 전시 일정에 맞춰 한국인 컬렉터 그룹의 초청으로 한국을 찾은 피에르 스택스가 바로 그러하다. 1970년대부터 고국인 벨기에를 시작으로 프랑스, 스위스에 형성된 수많은 아트 컬렉터 그룹을 도맡아 컬렉션을 키우는 데 일조해온 그는 작년에 생애 첫 한국인 컬렉터 그룹의 어드바이저가 됐다. 한국인 15명으로 구성된 ‘청춘’이라는 뜻의 쥬병스(Jouvneces) 그룹은 30~50대의 변리사, 변호사, 은행 종사자, 의사, 사업가, 주부, 대학원생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이들로 이뤄져 있다.


시대를 앞선 미니멀 아트 컬렉터의 도전
스택스는 회원들과 여러 아트 페어에 함께 참석해 세계 아트 트렌드를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작가의 아틀리에를 방문하거나 유럽의 다른 컬렉터들과 교류를 주선해주기도 한다. 작품에 대한 식견을 높여주는 특별 강연 프로그램도 준비한다. 쥬병스 그룹은 그동안 그의 추천으로 마크 데 그렁셩, 안토니 카로, 양혜규, 로버트 슈에이몽, 조린느 보이트, 리오텔 에스테브 등의 작품을 구입해 왔는데 작품 구매 후 10년 소장을 원칙으로 한다고 한다. 스택스의 손을 거친 40년간의 아트 컬렉션의 계보는 그야말로 컨템퍼러리 아트 역사의 거대한 물줄기를 그대로 뚝 잘라 가져온 듯하다. 1960~1970년대 당시 유럽에서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던 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로버트 로젠버그, 데이비드 호크니, 솔 르윗 등 주로 미국 작가의 작품에 주목했다. 벨기에 브뤼셀과 파리 보자르에서 예술사학을 가르치며 교편을 잡았고 보자르 잡지 등 정기적으로 권위 있는 예술 매체에 비평문을 꾸준히 써왔다. 지금까지 출간한 예술 서적만 해도 60여 권이 넘는다. 왕성한 활동은 학문적 연구에 그치지 않는다. 극장을 소유하며 시나리오를 쓰고 직접 무대에 올라 연기를 하기도 했다. 굵직한 전시회를 기획, 큐레이팅 해왔다. 특히 2012년 프랑스의 루이비통 문화재단에서 스택스의 기획으로 개최한 전시 ‘터뷸런스 I(Turbulence I)’을 성황리에 마친 뒤 2013년 브뤼셀 보고지안 재단에서 ‘터뷸런스 II’가 성공했고 현재 그 후속 전시를 기획 중이다.

아트 컬렉터로서 그의 입지 또한 독보적이다. 시대를 앞선 아트 컬렉션 컨설팅을 해준 덕에 이러한 대작을 상속받은 후손들이 직접 그의 생일파티를 열어준다고 하니 미다스의 손, 통찰을 가진 혜안이 일궈온 그의 아트 라이프 스토리에 더 귀 기울일 수밖에.


만화 ‘틴틴’의 작가 에르제의 컬렉터 어드바이저로 유명하다.
“1965년 브뤼셀의 갤러리에서 처음 그를 만났다. 당시 이미 그는 루치오 퐁타나와 같은 훌륭한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었다. 어느 날 나를 조용히 부르더니 ‘내 문화적 소양이 충분치 않은 것 같으니 우리 집에 와서 날 위해 강의를 해 달라’고 의뢰했다. 그렇게 해서 매주 그의 집에 갔다. 내 전공이 문학이어서 도움을 줄 수 있었던 것 같다. 철학과 예술을 함께 접할 수 있는 책을 추천해줬다. 자연스레 우정이 깊어지면서 함께 여행을 다녔다. 파리, 암스테르담 등 유럽 전역을 같이 다니며 이 사람의 엄청난 문화적 호기심에 놀란 기억이 있다. 자연스레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모두 다 전해주었다.”


에르제의 아트 컬렉션 구매에 도움을 주었나.
“물론이다. 당시에 유럽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앤디 워홀 작품을 1968년에 구입했고 로이 리히텐슈타인, 댄 플레빈, 솔 르윗 등도 구입했다. 프랑스 작가가 아닌 미국 작가 작품을 추천했는데 그 당시에는 미니멀 아트를 컬렉션하기 쉽지 않은 때였다. 하지만 나를 전적으로 믿고 모두 구입했다. 그때 MTL이라는 갤러리가 있었는데 이곳의 갤러리스트가 자신의 큰 집에서 전시를 열어 가봤더니 미국 작가들을 많이 초대했었다. 그때 솔 르윗이나 길버트 앤드 조지, 로버트 하이만 같은 작가를 여기서 다 만났다. 그때만 해도 잘 알려지지 않은 이들이었는데 에르제는 이 작가들에 대한 열정이 넘쳤다.”


처음에 어떻게 아트 어드바이저가 됐나.
“‘틴틴’의 작가 에르제의 영향이다. 컨템퍼러리 아트에 푹 빠져 수집하는 에르제를 그의 친구들은 조롱하곤 했다. 그것에 지쳐서 에르제가 나에게 제안을 했다. 12명으로 구성된 그룹을 만들 테니 우리가 산 작품들이 왜 의미 있는지 당신이 설명하라고. 그렇게 5년간 자본을 투자해 작품을 구입하고 컨설팅을 하는 내내 조롱당했다. (웃음) 그때 앤디 워홀, 톰 웨슬만, 크리스토, 로버트 라우센베그, 데이비드 호크니 작품을 모두 싫어했으니까. 1975년에 이 ‘12명의 그룹(Groupe des 12)’은 끝났다.”


그 뒤로 수많은 아트 컬렉터 그룹을 컨설팅했다.
“12명의 그룹이 입소문이 난 뒤 1982년에 35명의 그뢰닝(Groeninge) 그룹이 만들어졌다. 나를 믿고 키스 해링, 리처드 프린스, 토니 크라그, 주세페 페노네, 백남준, 게라르드 리쉬터, 히로시 수지모토, 프랭크 스텔라, 마티크 켈리 등을 샀다. 당시에는 무척 쌌다. 살까 말까 의심을 늘 하면서도 20년을 유지했는데 지금까지 가장 성공한 사례의 그룹이다. 분석해보면 작품을 최대한 오래 소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익을 최대로 볼 수 있었다. 이런 작품을 자손이 상속해 수백억 원대로 가격이 오르기도 해서 내 생일파티를 차려주기도 한다. 이 그룹 이후로 점차 다른 컬렉터 그룹이 조직됐다. 샤블리(Chablis), 15×5, 네오스(NEOS) 등 많은 아트 컬렉터 그룹을 컨설팅해 왔다. 2013년부터 나의 한국인 제자, 박은주의 지인들로 구성된 한국 그룹 쥬병스 그룹의 컨설턴트를 하게 돼 매우 기쁘다. 기존에 컬렉팅을 한 멤버들이 아닌데 스위스 아트 바젤과 프랑스 피악 페어를 직접 찾아오는 등 너무나도 열정적인 모습에 매번 감탄한다.”


스택스가 영어로 ‘베리 베리 칩’이라고 강조했던 1960~1970년대 구입한 작품들은 현재 높게는 수백억 대를 호가하는 세기의 걸작품이 됐다. 한 시대를 넘어 컨템퍼러리 아트의 클래식이 된 작품들을 그는 어떻게 알아보았던 것일까. 그는 불쑥 1980년대 뉴욕에서 지냈던 시절을 이야기했다. 누군가가 “자네 리처드 프린스 아틀리에에 한번 가봐” 했다고. 직접 가보고 작품도 아주 저렴하게 구입했다. 작가의 아틀리에 방문하기를 좋아하는데 시대를 대표하는 윔 델보이와 친구가 될 수 있었던 것도 같은 이유. “뛰어난 작가들을 만나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진실로 마음을 열고 자신의 철학을 얘기하는 걸 느낄 수 있다. 그 이야기가 또 대단하다.” 진정한 관계는 만남을 통해 서로 철학이나 관심사를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말이다. 그는 작품 속에 심어진 아티스트의 질문을 꾸준히 지켜보고 그 안에서 철학자의 모습을 읽는 것이다. 그런 다음 스택스는 비평가로서 작가에 대한 칼럼을 쓰고 전시기획자로서 작품을 선보이고 아트 컨설터트로서 컬렉터들에게 자신 있게 소개할 수 있으리라. 그에 의해 작가가 발굴되고, 새롭게 조명되는 등 가치가 부여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 그 중심엔 작가와 아트 컬렉터의 관계가 자리하고 있다.
[THE COLLECTOR] “서도호·양혜규 작품에 주목하라”
아트 컬렉터와 작가는 어떤 관계라고 생각하나.
“열정을 가진 컬렉터를 만나면 작가는 정말 행복할 것이다. 대부분의 작가들은 컬렉터를 만나고 싶어 하는데 진정한 관계는 만남을 통해 서로의 철학이나 관심을 공유해야 한다. 대가들을 만나 그들의 철학을 들어보면 정말 대단하다. 나는 아티스트들을 만나 과학자들에게나 할 법한 질문을 종종 던진다. 카오스에 대해 정의해 달라고 한다거나 작가가 컬렉터에게 직접 자신의 작품 세계, 철학을 표현하는 것은 그래서 아주 의미 있다. 나도 늘 그 점을 가장 중요시한다.”


수년 전 보자르 매거진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로 줄리 머레투를 꼽은 인터뷰를 봤다.
“지금도 그 작가를 전 세계적으로 아주 중요한 작가라고 꼽는다. 진정한 대가는 항상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자다. 줄리 머레투는 앞으로 지구가 어떻게 될 것인지, 휴머니즘의 미래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다. 머레투는 그 답을 찾으며 작품을 하는 것이다. 내가 독일 베를린에서 그를 만났을 때 어떤 작가를 존경하느냐고 물었는데 버넷 뉴먼과 함께 제리코를 꼽았다. 19세기 낭만주의 화가를 꼽다니 그의 화풍과 너무 달라 놀랍지 않은가. 난 전혀 예상치 못한 이런 답변에서 머레투의 철학을 본다.”


한국 작가들에 대해서도 묻고 싶다. 누구를 주목하고 있나.
“서도호를 알게 된 지 얼마 안 됐지만 작년부터 좋은 작품을 선정해 주변 컬렉터들에게 꾸준히 추천하고 있다. 그리고 양혜규다. 한국인으로서 이 아티스트를 가진 것을 자랑스러워해야 한다. (가지고 있던 비평 잡지를 가리키며) 여기 명망 높은 앙드레 고츠라는 전문가도 칼럼에 썼듯 양혜규는 대단한 작가다. 내 휴대전화로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다. 오늘 아침에 내가 브뤼셀과 파리에 있는 사람에게 휴대전화로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그것도 1초 만에. 내 생각이 엄청난 물리적 거리를 거치지 않고 1초 만에 전달된 것이다. 이것이 무얼 의미하느냐면 이곳과 그곳. 이 나라와 다른 나라. 내부의 생각과 외부의 생각이 항상 동시대적이라는 것이다. 양혜규 작품에는 이 안과 밖의 의미가 항상 담겨 있다. 대표적인 블라인드 작품도 그렇고 콜라주 형태의 봉투 작품도 그렇다. 봉투의 입구 부분을 계속 붙여서 확장한 작품이 있는데 내부라는 개념이 외부로 발전, 확장해 가는 과정을 그려낸 것이다. 내가 컨설턴트하고 있는 유럽과 한국의 컬렉터 클럽들은 양혜규 작품을 이미 컬렉션했다.”


자신의 컬렉션 중 작품을 되팔았던 경험도 있었나.
“아쉽게도 나는 이혼하면서 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솔 르윗, 데이비드 호크니 등의 작품을 팔아야 했다. 또 벨기에에 극장을 소유하고 있는데 무대 운영과 배우 월급 등 관리비용이 한창 나가던 때가 있어서 작품을 판 적이 있다. 하지만 작가에 대한 믿음이 변질되거나 값어치가 떨어져 되판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개인 컬렉션 중 가장 의미 있는 작품을 꼽는다면.
“윔 델부아는 정말 천재라고 생각한다. 그가 다른 작가와 다른 점은 서로 다른 콘셉트 개념을 혼합시켰을 때 보통 혼돈이 오는데 그것에 관한 질문을 스스로 하는 작가다. 물과 흙을 섞으면 진흙이 되는데 윔 델부아 작품은 두 가지 상반된 재료의 혼돈 없이 두 가지가 선명하게 남는다. 그의 모든 작품이 그렇다. 그는 나와 같은 벨기에의 플랑드르 출신 작가다.”


아트 컬렉션에 이제 막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나.
“혼자 컬렉션하지 말라. 전문가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야 길을 헤매지 않을 수 있다. 내가 1960년대 초반 거물 컬렉터의 집에 초대 받아 그곳에서 만난 많은 아티스트와 컬렉터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노하우를 전수받았기 때문에 지금이 있다고 생각한다. 초보자가 지금 당장 아트 페어에 혼자 가면 무엇을 볼 수 있겠는가. 불가능하다. 평론가, 컬렉터, 전문가, 딜러를 자주 만나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라.”


이지혜 프리랜서│사진 서범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