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는 다시 달릴수 있을까」.기아그룹이 부도방지협약대상기업으로 선정된 뒤 이 그룹 회생을위한 해법찾기가 한창이다. 정부는 기아사태에 따른 경제적 파문을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고 금융권 또한 움직임이 바쁘다.정치권도 예외는 아니다. 대권후보선출을 마친 여권은 연일 당정회의를 가지면서 기아회생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기아그룹문제가 잘못 해결될 경우 12월 대통령선거에 변수로 작용할 소지가다분히 있기 때문이다.기아그룹은 이번 사태의 당사자로서 2개월의 유예기간동안 『명예회복을 하겠다』며 자구책마련에 정신이 없다. 80년대초 국내경기가 불황에 허덕일 때 「봉고신화」로 위기를 극복했듯 이번에도 반드시 재기, 제2의 봉고신화를 창조하겠다는 비장한 결의를 내비치고 있다.기아와 함께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을 이끌어왔던 현대 대우 등 관련업체들도 기아사태해결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어떤 방식으로 해결되느냐에 따라 자동차산업구조조정과 업계판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이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름아닌 기아사태의 해결방식이다. 직간접으로 기아사태와 관련이 있는 이해당사자들은 각자 입장에서 방안을제시해놓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책은 아직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정리된 것이 있다면 제3자인수보다는 기아의 자구책을 통한 홀로서기 정도이다. 각론에 들어가면 혼란스럽기 그지없다. 정부는 기아문제를 금융권에 떠넘겨 뒷전에 물러나 있는 인상이 짙고 정치권은여론을 의식, 정부의 강력한 개입을 촉구하고 있을 뿐이다.금융권과 기아는 자구책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만을 하고 있다.자구책의 핵심이라 할수 있는 아시아자동차의 매각과 관련, 기아는난색을 표하고 있는 반면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은 기아자동차를제외한 다른 계열사의 과감한 정리를 요구하고 있다. 경영진의 책임을 놓고서도 주거래은행과 기아는 티격태격하고 있다. 현사태의책임을 물어 김선홍회장을 포함한 현 경영진의 전면퇴진을 주거래은행은 촉구하고 있으나 기아는 묵묵부답이다.이처럼 기아사태가 줄기를 잡지 못하고 표류하자 재계 및 정치권일각에서는 미국 크라이슬러사의 회생모델이 기아사태해결책으로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70년대후반 크라이슬러사가 포드출신의 리아이아코카를 회장으로 영입, 뼈를 깎는 아픔을 감수하고 감량경영을 단행, 기적적으로 회생했듯 기아 또한 이 방식으로 회생을 도모하라는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김선홍회장은 물러나야 하고 기아그룹은 주력인 자동차와 관련이 없는 모든 계열사를 미련없이 팔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