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그마라는 개념은 품질관리에서부터 나왔다. 6시그마를 주창하는 경영 컨설턴트나 전문가들은 아마도 이같은 주장을 탐탁지 않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6시그마의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은 주로 일본식 경영에 등장하는 TPM(일괄생산관리)이나 TQM(일괄품질관리)과 별반 다를 게 없는 품질 관리 개념이다. 이들 사이의 몇가지 차이점에 대해서는 다음번 글에서 논의하기로 하고, 기본적으로 6시그마의 기저에 깔려 있는 전반적인 철학은 여타 품질 관리 경영의 개념과 대단히 비슷하다는 것을 주지하기 바란다.6시그마라는 개념은 이미 오래전부터 기업활동에 알게 모르게 적용돼 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6시그마란 명칭이 정식으로 등장한 것은 1970년대 말 모토롤라의 최고경영자인 밥 갤빈 사장이 6시그마개념을 모토로라 조직 전체에 적용하면서부터다. 그 후 GE, ABB와 같은 기업들이 6시그마 개념을 도입해 자사의 실정에 맞게 응용하면서 기업들 사이에 널리 알려졌다.그러나 6시그마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980년대 중반 모토로라에서 6시그마 관련 교육 센터를 설립하면서부터다. 현재 이 교육 센터는 모토로라 직원들에게 6시그마관련 교육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인들도 소정의 수강료만 내면 교육을 받을 수 있다.독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의미에서 다시 한번 6시그마가 일본에서 오랫동안 논의되고 실제 경영에 적용돼왔다는 사실을 말해둔다. 물론 당시에는 6시그마라는 이름으로 지칭되지는 않았다. 6시그마 역시 다른 여러 경영혁신 기법과 마찬가지로 개념을 정립하고, 명칭을 붙인 다음 전세계적으로 확산시킨 주인공들은 바로 미국인들이었다.예를 들어, 품질 관리 분야의 권위자인 데밍이 6시그마에 해당하는 품질 관리 아이디어를 처음 접했을 당시에 이미 이 개념을 경영에 처음으로 도입해서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었던 것은 주로 일본 기업들이었다. 그러나 일본 특유의 문화적 이유 및 해외로 지식을 전파하는 능력부족 등의 이유로 일본 사람들은 품질관리에 대한 생각을 데밍만큼 성공적으로 개념화해서 포장하고 상품화하지는 못했다. 당연히 오늘날 「품질의 아버지」로 알려진 사람은 데밍이다. 품질관리에 관한 한 데밍보다 훨씬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하고 기업경영에 적용해온 일본의 교수나 기업인들이 아니라는 얘기다.여기서 한 가지 배우고 넘어갈 대목이 있다면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경영 개념을 도입하는 시점을 보면 그 개념을 실행하기에는 항상 시기가 너무 빠르거나 혹은 느리다는 점이다. 현재 한국 기업들이 앞다투어 6시그마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무엇 때문인지 뚜렷하지가 않다. 솔직히 말해서 한국의 제조업체들이 지금 놓여 있는 산업 사이클 단계를 고려한다면 6시그마 도입은 권장할 만한 것이 아니라고 본다. 한국 기업들이 좀더 맹렬하게 노력해야 할 부문은 오히려 원가 통제이다. 지난 수년간의 R & D 투자가 부족했던 사실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어찌된 연유에서건 1980년대 미국 기업체들의 품질관리에서 초점이 됐던 6시그마가 1999년 들어 한국 기업들의 인기를 얻게 되었다. 여기서 떠오르는 가장 중요한 의문점이라면 6시그마도 다른 경영기법처럼 하나의 유행처럼 스쳐 지나가는 게 아닐까라는 점이다.The concept of six sigma came for the quality management. Consultants and experts who preach six sigma will probably hate me for saying this, but the whole concept behind the six sigma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Japanese quality management, mainly 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and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There are few differences that I will discuss in the later articles, but the whole philosophy behind the six sigma is fairly similar with those of other quality-based management.The concept of six sigma has been probably with us for a long time, but it was not until the late 1970? with Motorola CEO Bob Galvin who started to institutionalize the concept of six sigma across the company that it became known as ?ix sigma? And the same concept was popularized and somewhat customized by GE and later by ABB.However, it was not until the middle 1980? when Motorola started the Six Sigma Institute and became the household name. Today, the Institute not only trains and educates its own employees, but also the program is open to non-Motorola employees for a nominal fee.Again, to remind the readers, that the six sigma has been preached and practiced in Japan for sometime. Of course, it probably was never called so. But as with many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s, it is usually the Americans who packaged and coined the term and institu-tionalized the concept globally.For example, when the quality management guru Demming was first introduced to the idea of quality, it was the Japanese institutions that first practiced the quality and actively pursued the concept. But because of the culture and its inability to share the knowledge beyond Japan Inc. no Japanese was successful taking the concept and packaging and commercializing it as well as Demming did. Today, of course, Demming is known as the ‘father of the Quality? not the Japanese professors and practitioners who probably spent more years than Demming on the concept of quality.The lesson point is that when Korea adopts the new management concept it is either too early or too late to implement. For example, it is unclear as to what is fueling the Six sigma movement in Korea. To be honest, I will not recommend six sigma concept at this stage of the industrial cycle to Korea manufacturing firms. What Korean firms need is much harsher view of the cost control. This is even more so given the lack of R&D investment in the last few years.At any rate, six sigma which has been the highlight of the quality management in the 1980? in the United States somehow managed to become popular in Korea in 1999. The most important question is how long it will last before it becomes just another f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