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시장이 요즘 화두다. 상한가나 하한가라는 말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네에겐 전혀 낯선 시장이다. 한 종목이 같은 날 10원에 체결됐다가 1백만원에 거래되는 해프닝도 일어났다. 시세표도 혼란스럽다. 사자는 가격이 팔자는 가격보다 비싸도 체결이 안된다. 가격과 수량이 일치해야 하는 상대매매를 원칙으로 하고 있어서다. 기존 시장과는 체질부터가 다르다.제3시장은 소위 말하는 장외시장이다. 거래소나 코스닥에 들지 못한 회사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곳이다. 정부는 한사코 제3시장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다. 정부는 대신 호가중계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정상적인 시장이 아니라는 암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장외시장이라는게 엄연히 명동과 인터넷상에 존재한다. 수많은 종목들이 거래돼 왔다. 이것이 제도권으로 들어왔으니 제3시장이라고 부르는 게 옳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제3시장에 대한 전망은 아직 불투명하다. 현재 거래되는 종목은 4개에 불과하다. 많은 기업들이 좌고우면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환금성을 높이기 위해 제3시장 진입을 원하지만, 기업의 입장에서는 그리 급할 것이 없다. 코스닥처럼 세제혜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시장이 활성화될 것인지도 불투명하기 때문에 일단 관망하자는 업체가 많다. 그러나 개장 첫날부터 일부 종목이지만 거래가 터지면서 분위기는 상당히 바뀌었다. 제3시장 진입에 관심을 표명하는 업체들이 부쩍 증가했다는 게 증권가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시장투자자의 입장에서 볼 때 제3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다. 코스닥은 댈 것도 아니다. 상하한가 자체가 없다. 유통주식수가 많지 않은 종목이 대부분이어서 조그만 재료에도 주가는 요동칠게 분명하다. 또 기업에 대한 가치분석은 커녕 정보도 제대로 유통되지 않는다. 투기성이 짙다는 얘기는 이래서 나온다.제3시장에서 거래할 때는 상대매매라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이 제시한 가격이 맞아야 거래된다. 사자는 사람이 돈을 더주겠다고 해도 살수가 없다. 또 당일 되파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코스닥이나 거래소처럼 치고 빠지는 것은 불가능하다.세금에 대한 것도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거래소나 코스닥시장에서는 주문체결과 동시에 각종 세금이 원천징수된다. 투자자는 세금에 관한한 신경쓸게 없다. 그러나 제3시장은 다르다. 자진신고가 원칙이다. 여기에 양도차익에 관해서도 세금을 내야 한다. 이것 역시 투자자가 책임져야 할 사안이다. 따라서 제3시장에서 주식을 사고 팔 때는 손해를 봤는지, 이익을 냈는지를 매번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매매계약서 등은 항상 보관해야 한다. 한달에 한번씩 예비신고를 하고, 1년에 한번 종합소득신고 때 정산을 하면 된다. 만일 허위로 신고하거나, 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무거운 벌칙금을 물게 된다.전문가들은 높은 위험성을 고려해 한종목에 많은 돈을 투자하는 것을 피하라고 권한다. 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한두 종목이라도 터져주면 큰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 철저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9개 종목에서 깨지더라도 1개 종목에서만 먹으면 된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 종목을 고를 때도 가급적 매출이 있는 업체를 선택하는게 요령이라고 설명했다. 또 CEO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벤처기업은 사실상 CEO의 능력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