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륵’(鷄肋)이란 말이 있다. 닭의 갈비뼈로 먹을 건 별로 없지만 버리기엔 또 아까운 부위다. 재테크에도 계륵은 있다. 크게 남는 투자처는 아닌데 무시하자니 영 찜찜한 경우다.보험이 대표적이다. 당장 돈은 안되지만 멀리하기엔 앞날이 걱정스럽다. 실제로 보험은 천의 얼굴을 지녔다. 누구에게는 로또처럼 값지지만, 또 다른 이에게는 얄미운 지출구멍이다. 특히 최근처럼 먹고살기 힘들 때 보험 딜레마는 한층 가중된다. 가령 ‘사망리스크’를 위해선 보험이 필수지만, 그것보다 불황 여파에 따른 당장의 ‘생존리스크’가 더 가혹하다. 최근 보험해약률이 급상승한 건 이런 이유에서다. 사실 미래위험에 대비하는 보험료보다 오늘 저녁 찬거리를 마련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이 경우 보험은 사치일 뿐이다.흔히 보험전문가들은 본인의 재정상황에 어울리는 ‘맞춤형 보험’을 권한다. 몸에 맞는 걸 골라야 보험 본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서다. 게다가 한번 부으면 20~30년간 납입해야하는 장기상품이 적잖아 선택은 그만큼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주도면밀한 준비 없는 보험가입은 눈뜨고 공돈 날리는 우를 범할 수 있다. 물론 보험가입은 재테크의 절대원칙이다. 보험은 금융상품ㆍ주식ㆍ부동산처럼 포트폴리오 배분전략의 큰 축 중 하나다. 보험 없는 재테크는 ‘앙꼬 빠진 찐빵’이다. 많지 않더라도 일정부분을 반드시 보험에 배려해야 한다. 특히 어려울 때 닥치는 사고ㆍ불행은 더 가혹하다. 보험은 이럴 때 힘을 발휘하는 법이다. 결국 보험이 재테크의 디딤돌이냐, 걸림돌이냐는 전적으로 가입자의 마인드와 전략수립에 달렸다.사실 재테크의 출발은 보험에서부터 비롯돼야 한다. 보험전문가인 서병남 인스밸리 사장은 “사고로 경제활동이 멈춰지면 치료(장례)비는커녕 가족생계도 불가능해진다”며 “이 경우 아무리 재테크로 돈을 벌어놓았어도 순식간에 잔고가 바닥난다”고 말한다. 암이라도 걸리면 기둥뿌리 다 뽑아먹고 죽는다는 얘기도 낭설이 아니다. 따라서 불확실한 미래보장 차원에서 보험가입은 최우선 선택이다. 서사장은 “든든한 위험관리의 토대 위에 주식ㆍ예금 등 다른 재테크 상품에 가입하는 게 가장 안전하고 현명하다”고 평가한다. 흔히 적정보험료 수준으로 수입의 5~10%를 꼽지만, 이는 최소한의 위험보장일 때 그렇다. 연금 등 노후대책까지 고려한다면 총수입의 30%는 돼야 한다는 게 서사장의 경험이다. 노후설계에 보험을 적극 활용하라는 메시지다.최근 가입자들이 궁금해 하는 보험이슈는 단연 중도해지를 비롯한 ‘리모델링’이다. 평균 한두 가지 보험에 가입한 상황임을 감안하면, 이는 꽤 일반적인 의문ㆍ테마다. 우선 보험을 해약할 경우를 보자. 대개 보험해약은 무조건 손해라는 인식이 강한데,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특히 보장기간이 짧은 보장성보험은 1순위 해약대상이다. 서사장은 “질병 발생확률이 낮은 20~30대가 암ㆍ건강보험에 가입하면서 보장기간을 10년으로 했다면 이는 별로 소용이 없다”며 “특별히 발생확률이 높지 않다면 정리하는 게 좋다”고 권한다. 교육ㆍ저축보험처럼 수익률이 낮으면서 보장 생존자금이 적어도 없애는 게 유리하다. 서사장은 “보험상품은 가입시기와 회사별로 보험료가 다르다”며 “예정이율 등이 낮게 적용돼 보험료가 비싼 경우도 해지할 것”을 덧붙인다. 반면 종신보험(확정금리형)이나 연금보험은 유지하는 게 좋다. 특히 고금리(예정이율)보험은 가급적 들고 가는 게 효과적이다.중복보장도 정리대상이다. 단 중복보장을 정리할 때 무조건 해약하는 게 능사는 아니다. 가령 다른 보장은 적절한데 특정보장만 중복됐다면 그것만 손보면 된다. 만약 중복보장이 특약사항이라면 특약만 조정하는 식이다. 반대로 주보험이 중복됐다면 보장금액을 줄이는 감액을 고려할 수 있다. 쓸데없이 이중으로 납부하기보다 적절한 수준에서 재조합하라는 뜻이다. 서사장은 “보장조건을 조정할 때 가급적 전문가로부터 조언을 들어야 한다”고 밝힌다. 보험 ‘갈아타기’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막강진용의 신상품 앞에서 과거 가입보험에 상대적 박탈감이 든다면 갈아타기도 괜찮다. 비슷한 내용인데 보험료가 비싼 상품에 가입했었다면 새 상품에 올라타는 게 유리하다. 하지만 대부분은 구관이 명관이다. 보장기간만 충분하면 옛날 게 더 유리한 경우가 많다. 가령 요즘 암보험은 신상품 가입 때 90일이 지나야 보장받는 등 제한이 따른다.보험 리모델링은 본인의 재정상황에 맞게 설계돼야 한다. 재정흐름을 라이프사이클에 맞춰 현재의 보유자금과 앞날의 필요자금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보장과 저축을 적절히 혼합해 위험관리와 노후설계를 빈틈없이 마무리하는 방향으로 리모델링돼야 한다. 예를 들어 30세 주부가 20년 만기의 암보험에 가입했다면 보장기간은 50세가 끝이다. 그런데 암 발병률은 고령일수록 더 높아진다. 정작 필요한 때 보장을 못받는다는 얘기다. 이럴 때 80세까지 보장받는 새로운 보험에 가입하는 게 좋다. 갈아타기ㆍ신규가입 여부는 본인 상황에 달렸다. 또 대부분 가입자들은 보험료가 저렴하면서 재해사고 때 고액을 보장받는 상해보험에 가입해 있다. 상해보험은 교통사고 때 3억~4억원을 보장하는 등 적정보험금을 초과하기도 한다. 반면 질병사망 때는 그만큼 보장금액이 낮다. 이때 당연히 재해사망은 줄이고 질병사망 보험금을 늘려야 한다. 서사장은 “모든 위험에 골고루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전한다.90년대 종신보험이 히트를 쳤다면 최근에는 변액유니버설이 세간의 화두로 떠올랐다. 각 보험사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힘입어 반드시 가입해야 할 필수보험이란 인식까지 생겨났을 정도다. 변액유니버설보험은 변액보험의 투자기능이 유니버설의 자유입출금 기능과 절묘하게 결합된 경우다. 보장과 저축기능이 다 갖춰졌기 때문이다. 보험료 중 사업비ㆍ사망보장비만 빼고 나머지를 펀드로 구성해 투자하는 상품이다. 납입금액은 상황에 따라 고무줄처럼 낼 수 있고, 필요시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도 있다. 보장ㆍ투자의 양수겸장인 셈이다. 하지만 뭐든 그렇듯 여기에도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투자실적이 악화되면 해약환급금이 마이너스(원금 대비)가 날 수 있어서다. 실적배당상품으로 구제방법은 없다. 예금자보호에서도 제외된다. 미래수익에 대한 리스크보장이 없어 비교적 위험도가 높다는 뜻이다.보험은 세대별로 전략이 달라진다. 다른 재테크수단이 고객성향ㆍ투자규모에 따라 포트폴리오가 달라진다면, 보험은 연령대가 절대변수로 작용한다. 20대는 보험료가 부담스러운 종신보험보다 정기보험이 1순위다. 그 다음 종신보험으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 활동이 많은 연령대로 불의의 사고에 대비한 상해보험 가입도 고려할 만하다.3040세대라면 종신보험 가입으로 가장 사망시를 보장해야 한다. 종신보험을 둘러싼 논란이 없지 않지만 여전히 이만한 종합보장상품은 없다는 게 대세다. 서사장은 “배우자라면 질병 등에 대한 생존치료를 중간 보장하는 건강보험에 가입하되 보장기간을 가급적 길게 가져갈 것”을 권한다. 50대 이후는 보험료가 비싸 부담스럽지만 꼭 필요한 보험에는 가입하는 게 좋다. 장기간병ㆍ장제비보험이 그렇다. 연금보험은 전세대를 관통한다. 납입기간이 길고 불입액이 많을수록 나중에 받는 연금액도 많아진다. 때문에 가능한 빨리 준비하는 게 효과적이다.결정적이지 않지만 성별 보험테크도 다소 다르다. 가족생계를 떠맡은 가장이라면 종신보험 등을 통해 본인 부재시 가족안위를 챙기는 전략이 현실적이다. 반면 아내를 비롯한 나머지 구성원은 연령ㆍ상황에 따라 건강ㆍ상해보험을 가려 가입하는 게 좋다. 특히 건강보험 가입 때는 성별에 따라 자주 발병하는 질병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서사장은 “유방암이나 비뇨기계질환 등 남녀에 따라 발생하는 질병 차이가 확연하다”며 “여기에 맞춰 보장범위ㆍ금액을 정하는 게 좋다”고 말한다. 보장범위를 둘러싼 논란이 있긴 하지만 CI(Critical Illnessㆍ치명적 질병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성별 보험테크의 한 전략이다. 보험금 지급여부와 민원 발생건수 등을 보면 이 논란에서 조금은 비껴갈 수 있다.도움말 = 서병남 인스밸리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