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개구리 알세포에 들어있는 성분에 바탕을 둔 합성 물질이 뇌종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스대학 연구팀이 '분자생물학저널'에 발표한 연구결과 'Rana pipiens' 개구리의 알세포로 부터 분리되는 암피네이즈(Amphinase)라는 성분이 현재 수술과 항암요법등의 복잡한 치료를 해야 하는 뇌종양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이 같은 성분이 뇌종양만을 매우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고 말하며 또한 실험실에서 쉽게 합성될 수 있는 바 향후 치료제 개발에 큰 기대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암피네이즈는 모든 살아 있는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리보뉴클리아제(ribonuclease)라느 효소의 일종이다.

암피네이즈는 포유류가 아닌 양서류로 부터 얻어지는 성분인 바 포유동물에 있어서의 암세포의 일반적인 방어기전을 파괴해 암세포를 죽일수 있다.

이 같은 암피네이즈는 종양세포를 덮는 당분 코팅을 인지 결합할 수 있는 바 종양세포가 아닌 다른 정상 세포는 손상시키지 않는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 같은 연구가 현재 개발 초기 단계인 바 실제 치료제가 개발되려면 수 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암피네이즈는 'Rana pipiens' 개구리의 알세포로로 부터 분리된 두 번째 항암 리보뉴클리아제로 임상시험 말기에 있는 이에 앞서 개발된 란피르나제(ranpirnase)는 드물지만 치명적인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폐암의 일종인 악성 흉막종 치료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란피르나제는 비소세포성폐암과 다른 고형암 치료에 대해서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이다.

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조고은 기자 [eunisea@mdtoday.co.kr]
<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 건강 신문 ⓒ 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