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배우는 중년 위기 대처법

한국의 중년들도 이제 위기에 접어들었다. 중년 위기를 상징하는 각종 시그널은 벌써부터 심상치 않다. 일자리는 흔들리고 가정에서도 소외감이 커지고 있다.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도 무시하지 못한다. 일본 중년들의 사례를 통해 한국의 중년들이 슬기롭게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고용·건강·가족‘위기’ … 해법은 新라이프스타일
위기의 중년이다. 아슬아슬한 삶 때문이다. 중년 위기는 하루 24시간을 관통한다. 일어나면 오늘이, 잠잘 땐 내일이 걱정이다. 지금까지 탄탄대로를 달렸더라도 앞으로는 첩첩산중이 가로막는 나이다. 여기엔 동서고금이 없다. 중년 위기를 뜻하는 영어(Mid-life crisis)까지 있으니 확실히 범세계적인 공통 이슈다. 장수 사회일수록 중년의 위기는 넓고 깊다. 여명(餘命) 불안이다.

한국도 이제 중년의 위기에 접어들었다. 100세 시대라니 피하기 힘들어졌다. 중년 위기를 상징하는 각종 시그널은 벌써부터 심상치 않다. 십중팔구 불행 지표다. 회사에선 정년과 무관한 퇴직 압박이 상시적이다. 위에선 누르고 밑에선 받는다. 회사 자리는 가시방석이다. 집에선 더 힘들다. 존재감이 옅어진 노동 기계일 뿐이다. 가족 소외는 결정적이다. 중년 가장이 머무를 공간은 집 안 어디에도 없다.

한국의 중년은 특히 힘들다. 일 권하는 특유의 기업 문화로 체력 약화는 하루가 다르다. 노화까지 앞을 막는다. 그래도 생존하자면 과로는 필수다. 버티기다. 자연히 스트레스는 일상적이다. 움직이는 종합병원처럼 만성 질병 1~2개는 보통이다. 여기까진 현재 이슈다. 내일 숙제까지 떠올리면 중년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는다. 불확실성에 눈앞이 컴컴해진다. 살아내야 하는 삶의 무게 때문이다. 은퇴 이후의 생존 과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퇴 미션은 후순위다. 4050세대부터 본격화되는 자녀 부양, 부모 봉양이 더 급하다. 빚을 지지 않으면 다행일 만큼 거금이 투여된다. 막연한 책임감 때문이다. 일본 노인처럼 성장 과실조차 그다지 받지 못했으니 은퇴 자금이 남았을 리 만무하다. 아파트 1채면 그나마 성공한 것이다. 이쯤이면 누구나 공감하는 평범한 중년 스토리다. 동시에 최악의 시나리오다. 장수 선진국 빈곤 노인의 라이프사이클과 정확히 중첩돼서다. 여기서 벗어날 때 행복 은퇴는 비로소 전제된다.

그래서일까. 중년 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 빈번하게 얘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기에 허덕이는 중년의 냉혹한 현실 뉴스가 넘쳐난다. 중년에 집중된 명예퇴직, 사업 실패, 가정 파탄, 질병·자살 등이 그렇다. 문제는 해결 방법이다. 아쉽게도 명쾌한 정답은 없다. 되레 중년 위기에 편승한 공포 사업이 활개를 치고 있다. 일례로 즐비해진 중년 서적이다. 아픈 청춘만큼 힘들고 괴로운 중년을 어루만진다.
<YONHAP PHOTO-1532> TO GO WITH AFP STORY 'Lifestyle-Asia-cities-Tokyo,FEATURE' by Frank Zeller

Pedestrians cross a road in front of the Shibuya station in Tokyo on June 21, 2011. Tokyo dwarfs the other top megacities of Mumbai, Mexico City, Sao Paulo and New York, it has less air pollution, noise, traffic jams, litter or crime, lots of green space and a humming public transport system. AFP PHOTO / Yoshikazu TSUNO

/2011-06-22 12:43:38/
<저작권자 ⓒ 1980-2011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TO GO WITH AFP STORY 'Lifestyle-Asia-cities-Tokyo,FEATURE' by Frank Zeller Pedestrians cross a road in front of the Shibuya station in Tokyo on June 21, 2011. Tokyo dwarfs the other top megacities of Mumbai, Mexico City, Sao Paulo and New York, it has less air pollution, noise, traffic jams, litter or crime, lots of green space and a humming public transport system. AFP PHOTO / Yoshikazu TSUNO /2011-06-22 12:43:38/ <저작권자 ⓒ 1980-2011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다만 이를 극복할 유력 카드는 마뜩잖다. “약간의 사고와 행동 변화로 즐거운 중년이 펼쳐질 것”이라지만 보증 불가다. 고민의 뿌리가 중년 외부에 있으니 당연지사다. 중년 위기의 진원지가 외부 환경이란 얘기다. 적자생존, 승자 독식의 무한 경쟁적인 작동 원리가 대표적이다.

한국의 중년 위기는 위험수위에 달했다. 아무리 둘러본들 현실 생활은 힘들어졌고 노후 빈곤은 불가피해졌다. 이럴 때 믿고 맡긴 게 정치지만 희망은 없다. 중년 위기를 낮춰 줄 제도 장치는 유명무실하다. 무엇보다 복지 시스템이 제도 미비, 기능 부전에 빠졌다. 원래부터 한국의 사회 안전망은 허술했는데 이젠 재정 압박마저 구체화됐다.

결국 기댈 건 자구 노력뿐이다. 생활 유지, 노후 준비의 자기 책임 전가 현실이다. 공적 이전(연금), 사적 이전(자녀 봉양)이 힘들다면 위기 타개의 전위 수단인 근로·자산소득의 돈줄 확보가 현실적이며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대응법이다. 노후 불안의 진원지가 돈·건강·가족이란 점에서 복합·장기적인 미션 수립과 실천 방안의 도출이다. 이대로라면 파편화된 중년의 삶은 극단적인 박탈·고립감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중년의 집단 우울이다.

일본은 일찌감치 중년 위기에 주목했다. 최근엔 관련 분석과 대응 전략이 더욱 늘었다. 2012년부터 베이비부머(1947~1949년, 800만 출생자)가 정년(65세)에 달해 중년 인구의 대량 은퇴가 본격화된 것도 계기가 됐다. 유유자적한 노후를 꿈꾸는 인구 증가와 여기에 태클을 거는 경기 불황이 맞서자 묘안 도출이 시대 과제로까지 부각됐다. 중년 위기를 통제·개선하지 못하면 이후의 노후 불안은 증폭될 게 불을 보듯 뻔해서다.

한국도 ‘58년 개띠’ 등 베이비부머(1955 ~63년생)가 중년에 진입했다. 일본보다 퇴직 연령(57.3세, 고용노동부)이 어려 한국 중년의 퇴직은 일상다반사다. 중소기업까지 넣으면 상당수가 퇴직자다. 즉 한국 중년의 위기 압박은 목에 찼다. 65세 정년까지 시간을 번 일본 중년과는 상황이 다르다.

연구 자료(닛세이기초연구소)에 따르면 중년부터의 위기 항목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은퇴 생활을 포함한 중년 이후 삶의 격차를 결정하는 건 ▷고용 ▷건강 ▷결혼(가족) 등이다. 해법은 균형 잡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에의 적응이다. 일본 사례에서 그 현실과 교훈을 살펴보자.
도쿄
/허문찬기자  sweat@hankyung.com 
20031001-07
도쿄 /허문찬기자 sweat@hankyung.com 20031001-07
비정규직화가 스트레스 크게 늘려

중년 남성의 위기 출발은 일자리에서 비롯된다. 고용 불안이다. 일본 남성의 해고 불안 체감 위기는 극에 달했다. 성과주의가 폭넓게 도입된 2000년대 이후부터다. 달라진 직장 환경 때문이다. 지금까지 샐러리맨의 걱정거리는 기업이 해결해 줬다. 고용·의료·교육·육아·간병 등 생활보호는 기업 복지가 도맡았다. 성별 역할 분업에 기초한 핵가족화도 여기에 맞춰 적응해 왔다. 기업 사회 종사자답게 멸사봉공으로 일하면 정년퇴직까지 안정된 생활 유지가 가능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추세적 비정규직화가 일본을 스트레스로 물들였다. 육체·정신적 건강 악화부터 실업 우려가 중년 남성을 괴롭힌다. ‘구조조정→가족 붕괴→단신 거주’ 양상이다. 애초부터 비정규직이라면 중년 독신은 당연한 결과다. 일과 집을 잃어버린 중년 남성은 사회적 고립 문제로 확산된다.

자살 이슈를 보자. 1998년 이후 12년 연속 자살자가 3만 명을 넘겼다. ±50대의 4060세대가 최다 비중이다. 이유는 건강 문제가 일반적이지만 4060세대는 경제·생활 갈등이 최대치다. 또 무직자·비정규직 혹은 단신 거주자의 자살 비중이 높다. 공통분모는 중년 남성이다.

우울(조울)증은 중년 남성의 상징 질병이다. 이른바 ‘감정(심리)장애’ 환자는 2008년 104만 명을 넘었다(후생성). 이 중 38만 명이 남성이다. 선진국보다 적지만 편견 우려의 감춰진 환자를 감안하면 결코 낮지 않다. 연령별로는 30~70대가 주력이다. 40대(8만4000명)가 1위인 가운데 30대(7만9000명)와 50대(7만1000명) 순서다. 우울증은 기업에도 악재다.

실제 상장 기업의 45%가 마음의 병에 걸린 직원이 늘었다고 했다(2010년, 일본생산성본부). 세대별로는 30대(58.2%)가 1위다. 대기업일수록 발병 확률이 높다. 직장인 중 58%도 불안·고통·스트레스를 호소했다(2007년, 후생성). 최근엔 커뮤니케이션 및 관계 부재가 원인으로 자주 꼽힌다.

우울증엔 실체 근거가 있다. 상승 중인 중년 실업자가 증거다. 청년(20~34세)과 고령(50~64세) 실업이 횡보인데 중년(35~49세)만 일관된 상승세다. 실업은 곧잘 취업 포기로 연결된다. 취업 희망, 구직 활동이 구직 포기로 전환되는 것이다. 취업 포기는 고령일수록 높지만 최근엔 중년이 가세했다(2002년 25.4%→2007년 33.4%). 고용 불안은 결혼 포기, 단신 거주를 낳는다. 생애 미혼율(50세 현재 미혼)은 1980년대 2%대에서 2005년 16%로 급등했다. 여성은 그 절반 이하다. 10년 넘게 살다 헤어지는 숙년 이혼도 늘었다. 중년 독신의 확산 추세가 뚜렷하다. 독신일수록 평균 여명은 낮아지고 사망률은 높아진다. 질병 확률도 마찬가지다.

중년 남성을 괴롭히는 직장·가족에서의 배제·고립엔 탈출구가 없을까. 워낙 복합·구조적이라 뾰족한 답은 없지만 길이 없지는 않다. 우선 일과 가정의 양립 조화(Work Life Balance=WLB) 실현이다. WLB는 저출산 대책의 핵심이다. 동시에 고용 불안의 중년 위기를 구해낼 카드다. 과잉 노동 방지와 직업 생활 안정 및 가정·지역 조화 실현, 심리 질병 해소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정규직의 과로와 비정규직의 고용에서 적정 균형(Work Sharing)을 찾으면 적어도 ‘고용→건강→가족’의 연쇄 붕괴를 늦출 수 있기 때문이다. 위기 경감 묘책이다.
고용·건강·가족‘위기’ … 해법은 新라이프스타일
고용·건강·가족‘위기’ … 해법은 新라이프스타일
중년 여성의 최대 적은 ‘건강 악화’

우울증 특효약인 관계 복원 기반도 넓어진다. WLB로 직장 외부에서의 관계 개선이 강화되면 과도한 기업 의존적인 라이프스타일에서 벗어날 수 있다. WLB는 기업에도 좋다. 노사 대결적인 비용 절감부터 사회적 책임과 생산성 향상 등이 기대 효과다. 이와 함께 복지 정책 강화도 필수다.

중년 직장인의 고립 원인이 축소된 기업 복지에 일정 혐의가 있다면 이번에 시스템 자체를 기업 복지에서 사회복지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생활보호의 정부 확대다. 원활한 노동 참가를 전제로 탈락자에게 제공하는 사회 차원의 복지 공급 모델 수립이다.

중년(고령) 여성은 장수 사회의 상징 그룹이다. 수명 연장의 차별적 수혜 때문이다. 문제는 건강 수명이다. 평균 수명과 건강 수명은 다르다. 장수에 동반되는 건강·간병 문제의 부상이다. 특히 여성이 그렇다. 여성 고령자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노인 중 여성 비중은 65세 이상이 1.3배에 불과한데 75세(1.7배), 85세(2.7배)로 갈수록 많아진다. 생존율도 비슷하다. 그래서 고령사회는 여성 사회로 왕왕 비유된다.

노후기의 장기 독신도 여성에겐 일반적이다. 반대로 주거·연금 등 안정된 생활 기반 확보는 고령 여성의 삶을 결정짓는 최대 변수다. 아쉽게도 불안감은 높다.

원인은 크게 건강(75.2%)·간병(58.6%)· 수입(50.8%) 등이다(2008년, 후생성). 그간 여성의 라이프 코스는 꽤 다양화됐다. 남녀 차별이 줄어들면서 취업·결혼·육아 등 다양한 선택지가 가능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용 ▷건강 ▷결혼(가족)의 3대 생활 리스크는 중년 남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여성 특유의 성별 특징과 생애 주기 때문이다.
고용·건강·가족‘위기’ … 해법은 新라이프스타일
중년 여성의 3대 위기 중 가장 부담스러운 건 건강 악화다. 우울증 환자의 60%가 여성인데 남성과 달리 60~70대 환자가 많다. 여성 자살자도 비슷하다. 60대를 중심으로 앞뒤 20년(50~70세)이 최다 빈도다. 원인은 건강 문제가 3분의 2를 차지한다. 이 중 절반이 우울증으로 알려졌다. 중년 이상 고령 여성의 심리 질환이 많은 건 장수도 원인이지만 배우자·친구 등을 떠나보낸 상실감과 질병 연장선으로 이해된다. 간병 문제는 고령 여성의 삶과 직결된다. 평균 수명과 장수 수명의 갭은 여성이 7.5년이다(2004년, WTO). 결코 짧지 않은 간병 기간이다.

고령화가 진행되면 더 늘어날 전망이다. 노년 간병을 위한 간병보험의 요(要) 인정 비율은 75세 이상에 집중된다. 65세 이상보다 7배나 많다. 게다가 간병보험의 보호막은 불안하다. 인정 수요는 많은데 재정 공급이 턱없다. ‘늙으면 돈이 효자’이듯 자력 구제가 있지만 실제로는 어렵다. 돈이 없어서다. 평균적인 일본 노인은 돈이 많지만 뜯어보면 노노(老老) 격차가 현격한 데다 여성은 남성보다 한층 열악하다. 연금 선진국답게 연금 소득만으로 사는 인구도 63.5%에 달하지만 간병 비용을 커버하기엔 역부족이다. 재정 건전화 차원에서 향후 연금 수령이 늦춰지고 수급액마저 축소될 전망이어서 더더욱 불안하다.

그래서 선택한 게 취업 카드다. 고용 형태로는 비정규직이다. 남성 비정규직은 청년 때 높다가 이후 낮아지고 고령 인구 때 재차 급증한다. ‘U자’다. 반면 여성 비정규직은 출산·육아기(25~34세) 때 낮다가 이후 일관되게 높다. ‘√스타일’이다. 비정규직은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많다. 남성 비정규직이 적고 여성 비정규직이 많은 구간이 중년기다. 비정규직이어서 소득은 적다. 그렇지 않아도 성별 임금 격차가 큰데 비정규직 레이블마저 붙으니 임금수준은 더 낮다. 고용·성별 형태의 임금 격차는 1.5~1.8배에 이른다. 여성 비정규직에겐 사실상 이중 격차다. 중년 여성의 노후 준비를 막는 거대 복병이란 얘기다.
고용·건강·가족‘위기’ … 해법은 新라이프스타일
고용·건강·가족‘위기’ … 해법은 新라이프스타일
물론 여성 비정규직은 그간 큰 문제가 아니었다. 남성 전업, 여성 가사 모델 때문에 가계 보조적인 취업 형태로 인식됐다. 다만 지금처럼 배우자의 휴업·실업·무업 위기가 커지면 얘기가 달라진다. 같은 맥락에서 만혼·비혼 등의 가족 붕괴 리스크도 해결 변수다. 눈높이의 미스매칭이 야기한 결혼 수급 갭이 여성의 생애 단신으로 연결돼서다. 부모 동거라면 2세에 걸친 노후 압박 악재다. 이혼도 문제다. ‘이혼→재혼’ 비율은 여성이 낮다. 이때 대부분 모자 가정으로 빈곤 함정에 빠질 수 있다. 고용과 가족 이슈는 자연스레 WLB 강화로 귀결된다. WLB의 구축·실천으로 여성의 고용 부담을 줄여줄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소득과 가족 모두를 손에 쥘 수 있기 때문이다.

중년 위기를 넘기자면 라이프 코스별로 자신에게 맞는 대응 준비가 필요하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리스크가 적은 건 배우자 있는 고용 확보다. 배우자 없는 고용 확보와 배우자 없는 건강 유지도 비교적 괜찮다. 문제는 결혼(가족) 리스크에 노출됐거나 배우자의 건강 악화다. 이를 종합해 중년 여성의 유력한 라이프 코스별로 리스크와 대응책을 정리해 보자. 3가지다.

먼저 독신 리스크다. 비정규직이 길어지면 연금 소득을 비롯한 노후 불안은 높아진다. 부모 의존은 한계가 있다. 노후 단신을 대비한 간병 마련도 부정적이다. 이에 따라 정규직 도전이 급선무다. 사회적으론 임금 격차 축소 및 직업 능력 확대 방안이 유력하다. 전업주부 리스크는 드라마틱하다. 지금까지 드물었던 남편 실업, 숙년 이혼이 예상되고 중년 취업은 여전히 힘들다. 대안은 맞벌이를 비롯한 취업 전선의 조기 데뷔다. 연금 구조에 취약했던 전업주부를 위한 급부 확대 및 공제 개편 등도 거론된다.

마지막은 양립(WLB) 리스크다. 가정·직장의 양립 요구는 여성에게 과도한 압박이다. 남편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 근로 형태 다양화와 휴가·시설 제공 등이 마련됐지만 효과는 미지수다. 출산·육아를 위한 여성의 커리어 중단도 여전하다. 노후 대비에 취약한 여성이 WLB에 성공하도록 효율·현실적인 추진 정책이 한층 필요한 이유다.

이들 3대 리스크의 공통 대응책으로는 가족 관계를 대체할 새로운 인적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전 게이오대 방문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