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전경련 '존폐 기로' : 가입 요건]
중소기업도 가입 가능한 전경련…대한상의·중기중앙회는 ‘법정 단체’


[한경비즈니스=차완용 기자] 현재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회원사는 600여 개다.

전경련 회원 자격은 시장경제의 창달과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이라는 전경련 설립 목적에 동의하는 기업이면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입회 신청서를 제출하면 이사회와 회장단 회의에서 심의한 뒤 회원 가입 승인을 통보한다.

이 때문에 600여 개 회원사에는 대기업 외에 중견기업도 다수 포함돼 있다. 또한 전경련은 중소기업과도 관계를 맺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동반 성장을 목표로 중소기업협력센터를 별도 운영 중이다.

사무국은 총회의 위임을 근거로 상근부회장 중심으로 운영되며 조직은 ▷경제본부 ▷산업본부 ▷사회본부 ▷국제본부 ▷회원사업본부 ▷기획본부 ▷홍보본부 등 7개로 이뤄져 있다.

경제본부와 산업본부는 한국의 경제·산업 정책을 연구하는 일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며 사회본부는 사회공헌 활동을 주로 한다. 국제본부는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 경제 협력을 추진한다. 전체 인원은 130여 명이다.

전경련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순수 민간 기업 단체’라는 게 특징이다. 흔히 ‘재계’로 불리는 기업의 모임인 경제5단체(전경련·대한상공회의소·한국무역협회·한국경영자총협회·중소기업중앙회) 중 민간 기업 단체에 가장 가깝다.

◆ 경제5단체의 성격과 역할은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와 중소기업중앙회 등 두 단체는 법에서 정부 지원을 받아 설립하도록 한 ‘법정 단체’이고 무역협회(무협)와 경영자총협회(경총)는 민간단체이긴 하지만 수출업체 지원 사업, 노조와 교섭하는 사용자 단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전경련과 성격이 가장 비슷한 대한상의는 1884년 일제 자본에 대항하기 위해 뭉친 민족 상인 조직인 한성상공회의소가 모태다. 경제 단체 중 역사가 가장 오래됐다. 전국 72개 지방상의가 있다. 회원사는 15만여 개사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가리지 않는다.

대한상의는 세계 각국 상공회의소나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등 국내에 있는 해외 경제 단체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대한상의는 1952년 제정된 상공회의소법에 따라 특수공익법인이 됐다. ‘반관반민(半官半民)’ 성격 때문에 재계를 대표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한상의 부회장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료 출신이 주로 맡아 왔다.

무협은 1945년 광복 직후 무역 확대를 위해 뜻있는 무역인 105명이 세운 것이 시초다. 지금도 수출 기업 지원 등 무역 부문에서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경총은 1970년 노동계와 교섭하는 사용자 단체 역할을 하기 위해 전경련에서 분리돼 나왔다. 중기중앙회와 중견기업연합회는 각각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이익을 대변한다.

cwy@hankyung.com

['위기의 전경련' 커버스토리 기사 인덱스]
- '존폐 기로'에 선 전경련
- '해체냐 대통합이냐' 격랑 속으로
- 삼성·SK·LG 이어 은행까지 '탈퇴'
- 허창수 전경련 회장, 해체 여론에 '임기' 맞물려 '속앓이'
- 경제 초석 다지고 경제성장 발판 마련
- '회장단 20인'엔 재계 총수들 대거 포진
- 600여 개 회원사 둔 순수 민간단체
- 9대 정권과 함께한 전경련 55년史
- 전경련, 헤리티지 같은 ‘싱크탱크’ 변신 유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