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 외교·안보 부문]
‘트럼프 시대’ 각국 정세 변화 주목…통일연구원 2위 유지
외교안보연구소, 9년 연속 ‘1위’… ‘최고 두뇌집단’ 인증
[한경비즈니스=김서윤 기자] ‘2017 대한민국 싱크탱크’ 외교·안보 부문 1위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이하 외교안보연구소)가 차지했다. 외교안보연구소는 올해도 1위 자리를 내어주지 않았다.

외교안보연구소는 한경비즈니스가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선정을 시작한 이래로 9년간 매년 1위에 올라 대한민국의 명실상부한 외교 부문 최고 두뇌집단임을 증명했다.

점수는 대외적 영향력 197점, 연구보고서의 질 176점, 연구인력의 역량 182점으로 총점 555점을 기록했다. 2위와의 격차는 무려 98점이다. 타 부문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수치다.

외교안보연구소는 5개의 연구부(안보통일연구부, 아시아태평양연구부, 미주연구부, 유럽아프리카연구부, 경제통상연구부)와 4개의 연구센터(외교사연구센터, 중국연구센터, 국제법센터, 일본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운영 중이다.

5개의 연구부는 국제안보·북핵 등 남북관계, 한미동맹, 대미관계, 중남미·유럽·러시아·중동 등 지역 이슈, 글로벌 거버넌스, 기후변화, 공적개발원조(ODA), 자유무역협정(FTA) 등 정치·경제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룬다.

4개의 연구센터들의 활약도 눈에 띈다.

중국연구센터는 국제관계의 주요 변수로 떠오른 중국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2010년 12월 설립됐다. 일본연구센터는 한일관계 및 중장기 대일외교정책을 연구한다. 또한 국내외 일본 관련 네트워크와 대일 공공외교를 강화하기 위해 2015년 8월 설립됐다.


외교안보연구소는 지난해 말, 미국 트럼프 정부가 ‘중국 견제’와 ‘대북 강경 정책’ 기조를 앞세울 것으로 내다보며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에 대한 리포트를 내놓기도 했다.


이 연구소의 핵심 연구원들은 대부분 현직 외교관들이며, 이들의 연구는 실제 정책에 반영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5위로 밀려나


2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통일연구원이 차지했다.


미국 트럼프 정권의 대북 압박과 중국 견제에 대한 북한의 반응이 한반도 정세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주목되는 가운데 통일연구원의 활약이 단연 돋보였다.


통일연구원은 올 초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통일연구원은 미국 정권의 움직임에 따라 북한의 핵·미사일 선제공격의 가능성이 짙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북한이 한미 관계에서 타협모드가 아닌 강경대립으로 날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통일연구원의 연구 분야는 크게 국제정세, 북한연구, 통일정책 등이다.


통일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북한의 정치·군사·경제·사회 및 국제관계, 북한의 인권문제, 북한 주변국의 정세 등을 연구하고 있다.


통일연구원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통일시대 준비를 위한 대전략’을 수행 중이며 남북한 주민의 친화성 증대를 위한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통일연구원 관계자는 “분단 70년을 맞아 한반도 통일 시대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남북통합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를 통해 국민적 합의를 형성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비전을 밝혔다.


1, 2위를 제외한 5위까지 순위는 엎치락뒤치락 했다. 지난해 4위였던 세종연구소는 올해 3위에 올랐고, 지난해 5위였던 아산정책연구원은 4위에 안착했다.

3위에 오른 세종연구소는 1986년 정·재계 지도급 인사들이 북한의 미얀마 랑군 테러로 목숨을 잃은 외교사절단 17인의 유가족을 돕기 위해 1986년 설립해 지난해 30주년을 맞았다.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남북통일 및 대외관계에 관한 국가전략과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민간 싱크탱크로 손꼽힌다.

본 연구소는 1983년 당시 미얀마 랑군에서 순국한 외교사절 및 공식수행원 유가족에게 소득지원금과 유자녀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아산정책연구원은 지난해 외교부문 ‘빅5(외교안보연구소, 통일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세종연구소, 동아시아연구원)’의 아성을 무너뜨린 장본인이다.

아산정책연구원은 지난해 동아시아연구원을 제치고 5위 자리를 차지했으며 올해는 한 단계 오른 4위로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는 지난해 3위에서 5위로 밀려났다.

◆제주평화연구원, ‘톱 10’ 진입

이번 선정에서는 10위권으로 신규 진입한 연구소들도 눈에 띈다. 제주평화연구원은 지난해 12위에서 9위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지난해 11위에서 10위를 기록했다.

올해 ‘100대 싱크탱크’에 새롭게 이름을 올린 연구소가 3곳 늘었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하다.

한국군사문제연구원과 한국국가전략연구원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군사문제연구원은 지난해 신규로 진입해 25위를 차지했다가 올해는 12위를 기록했고, 한국국가전략연구원은 지난해 22위에서 13위로 순위를 뛰어 올랐다.

동아시아재단은 신규로 진입해 15위에 올랐다. 사단법인 김대중평화센터는 아쉽게 올해 ‘100대 싱크탱크’에 들진 못했지만, 지난해 27위에서 16위로 11계단 뛰어올랐다.

한경비즈니스는 2016년 12월 14일부터 30일까지 글로벌리서치와 함께 경제·산업, 정치·사회, 외교·안보, 여성·노동, 환경 등 5개 분야 전문가(교수'연구원)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최고 경쟁력을 갖춘 연구소 100곳을 선정했다.

설문 평가 항목은 ▷영향력 ▷연구의 질 ▷연구 역량 등 3가지다. 각 항목별 최고의 싱크탱크 10개를 순서대로 답하도록 한 다음 가중치를 부여해 합산했다. 최종 순위는 산출한 항목별 추천 점수를 더해 총점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했다.

socool@hankyung.com

[기사 인덱스]
- [2017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브레인
- [2017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경제·산업 부문] KDI, 5년 연속 ‘대한민국 대표’
- [2017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정치·사회 부문] '복지 시대' 보사硏, 6년째 선두
- [2017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외교·안보 부문] 외교안보硏, 8년 연속 '1위'
- [2017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여성·노동 부문] 노동硏·직능원, 5년째 1~2위
- [2017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환경 부문] '디젤 게이트 적발' 국립환경과학원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