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업 무하유, 지난해 매출 65% 증가…일본에서 서비스 출시하고 세계 시장 공략 나서
[프리뷰]설민석 논문 표절 잡아낸 ‘카피킬러’…60억 건 데이터로 AI 채용 시장 확대
[한경비즈니스=김영은 기자] 한국사 강사 설민석 씨와 가수 홍진영 씨의 논문 표절이 도마 위에 오르자 덩달아 이슈가 된 인공지능(AI) 기업이 있다. 표절 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개발한 무하유다.



2011년 문을 연 무하유는 2000개 기관에 카피킬러를 납품하고 있다. 국책 기관의 70%가 카피킬러 이용 계약을 했고 60억 건의 비교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독보적인 지위에 있다.
2018년 AI 채용 프로그램 ‘카피킬러 HR’로 성장 동력을 확보했고 2020년 데이터 라벨링 서비스를 출시하며 몸집을 키웠다. 표절 검사, AI 서류 채용 평가, 데이터 라벨링 모두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무하유는 반복적인 서류 업무로부터 모든 직장인을 해방하자는 목적을 가지고 시작했습니다. AI의 본질은 인간의 반복적인 업무를 구조화해 이를 대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일의 본질에만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이죠.”



무하유를 설립한 신동호 대표는 AI를 전공한 엔지니어 출신이다. 신 대표는 본인을 ‘담대한 사업가’가 아닌 ‘소심한 엔지니어’라고 소개했다.



무하유는 사업을 시작한 이후 10년 동안 매출이 하락한 적이 없다. 표절 검사 서비스로 기관과 기업의 신뢰가 쌓였고 AI 채용 분야로 시장을 넓히자 매출이 급증했다. 2020년 매출은 전년 대비 65% 정도 늘었고 회사는 전세를 벗어나 3배 확장하며 새로운 곳에 자리 잡았다.


무하유 직원의 평균 연령은 30대 초반이다. AI 회사답게 기업 문화가 빠르고 주도적이다. 직원 개개인이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개발자 문화다. 다른 정보기술(IT) 회사와 달리 문과 출신 비율도 높다.



언어 데이터를 선별하고 데이터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정보의 성질을 전문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문헌정보학과나 언어학을 이해하고 있는 국문학과 출신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인공지능 빙하기 출신 엔지니어, AI 사업화 성공



신 대표가 AI를 연구하던 1990년대는 ‘AI 빙하기’로 분류된다. 1970년대부터 AI에 부푼 희망을 걸고 연구가 이어져 왔지만 상용화에 실패하고 PC 시대가 도래했을 때였다.



“당시 연구 과제 제목에 ‘인공지능’이 들어가면 교수님들이 말릴 정도였어요. AI에 아무런 전망도, 가능성도 보이지 않던 시절이었죠. AI 연구가 가장 뜨거운 지금과는 상반되는 상황이었죠.”



신 대표는 녹록하지 않은 연구 상황에서 ‘지능이란 무엇인가’부터 파고들었다. AI에 대한 폭을 넓히기 위해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지능을 연구했다. 인지과학은 언어학·심리학·철학·신경과학을 연결해 인간의 지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컴퓨터에 지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어떻게 학습하는지, 이를 통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알아야 했다.


수많은 AI 기술 중 ‘NLP’를 기반으로 한 표절 검사 서비스를 사업화한 이유는 ‘지식의 계보’에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인간의 지능은 문자가 발명되고 텍스트가 축적되면서 고도화됐습니다. 개나 고양이도 물체를 인식하고 구별할 수 있는 시지각이 발달돼 있지만 언어에 의한 텍스트 축적은 인간만의 영역이었죠. 수많은 지식이 축적돼 오면서 연구는 인용과 참조를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생각의 근원을 밝혀내는 작업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1월 18일 발행되는 한경비즈니스 1312호에서 확인할 수있습니다]


kye0218@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311호(2021.01.04 ~ 2021.01.10)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