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증권거래소와 홍콩 증권거래소 간 교차 매매를 뜻하는 용어다. 중국 정부는 이 거래를 2014년 11월 허용했다. 외국인 개인이나 기관투자가들도 홍콩 거래소를 통해 상하이 A주 주식을 살 수 있게 됐다.
① 후강퉁
② 왜그 더 도그
③ 데이 트레이딩
④ 홈 트레이딩 시스템
⑤ 적격 외국 기관투자가
02 다음 중 증시에 상장돼 거래가 이뤄지는 펀드는?
① 인덱스 펀드
② 액티브 펀드
③ 사모 펀드(PEF)
④ 상장지수펀드(ETF)
⑤ 재간접 펀드(펀드오브펀즈)
03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성을 모두 지닌 재화나 서비스가 아닌 것은?
특성 1 : 한 사람이 소비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소비가 제한받지 않는 특성
특성 2 : 대가를 치르지 않은 사람을 소비하지 못하게 막지 못하는 특성
① 댐
② 가로등
③ 국방 서비스
④ 유료 고속도로
⑤ 경찰 서비스
▼해설
01
후강퉁은 상하이 증권거래소와 홍콩 증권거래소 간 교차 매매를 허용하는 정책이다. 2014년 11월부터 시행돼 본토에 50만 위안의 잔액을 보유한 개인 투자자와 일반 기관투자가 등도 홍콩을 거쳐 상하이 A주 주식을 살 수 있다. 왜그 더 도그(wag the dog)는 말 그대로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는 말로 주객(主客)이 바뀌었다는 뜻이다. 주식시장에서 왜그 더 도그는 선물시장에 의해 현물시장이 좌지우지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정답 ①
02
상장지수펀드(ETF:Exchange Traded Funds)는 증권시장에 상장돼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는 펀드다. 수수료가 싸고 환금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ETF는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주식형 ETF, 채권형 ETF 등과 원유·금·구리· 곡물 등 원자재에 투자하는 원자재 ETF와 미 달러 선물 등에 투자하는 통화 ETF로 나뉜다. 정답 ④
03
재화를 구분하는 기준에는 ‘배제성’과 ‘경합성’이 있다. 배제성은 사람들이 재화를 소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고 경합성은 한 사람이 재화를 소비하면 다른 사람이 소비에 제한 받는 속성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시장에서 구매하는 물품은 사적재로 배제성과 경합성을 가진다. 공공재는 배제성이 없고 소비에 경합성도 없는 재화다. 사람들이 공공재를 소비하는 것을 막을 수 없고 한 사람이 공공재를 소비해도 다른 사람도 동시에 공공재를 소비할 수 있다. 일기예보, 국방 서비스, 경찰 서비스, 가로등, 댐 등이 모두 공공재에 해당한다. 유료 고속도로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재화를 소비할 수 있지만 재화를 소비하는 대가를 지불했으므로 배제성이 있는 집단재다. 정답 ④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