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공인 1호 한경 TESAT

01 외환시장에 대한 정부 개입과 관련한 다음 대화 중 잘못된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철수: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외환시장에 외환 공급이 증가했어.
영희: 그래, 그래서 환율이 하락(원화의 평가절상) 압력을 받고 있지.
영수: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이 줄어들 것 같아 걱정이야.
문희: 그래서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매도하고 있는 거야.
경수: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하면 국내 통화량이 변할 텐데.

① 철수, 영희 ② 문희 ③ 영수, 경수 ④ 영희, 문희 ⑤ 문희, 경수0


01 해설

정부와 외환당국은 환율이 급변동해 거시경제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종종 시장에 개입한다. 보통 세계 각국 정부는 환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미세 조정이라고 불리는 스무딩 오퍼레이션(Smoothing Operation)’을 실시한다. 문제에서 외국인의 국내 증시 투자가 늘어나면 국내 주식을 사기 위해 외국 돈이 들어오므로 외환 공급이 증가하게 된다. 외환 공급이 늘어나면 원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원화 환율은 하락(원화 가치는 상승) 압력을 받게 되며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 상품의 달러화 표시 가격이 상승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 외환 당국이 이 같은 원화 환율 하락을 막으려면 시중에서 달러를 사들이면 된다. 중앙은행의 달러 매입은 달러 가치를 올리는 반면 원화 가치는 낮추게(원화 환율은 끌어올리게) 된다.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 시중의 달러를 사들여 원화를 풀거나 보유한 달러를 팔아 원화를 회수하면 통화량은 변한다.

정답 ②



02 어떤 나라의 국민소득 관련 상황은 아래와 같다. 국민소득 관련 방정식 Y=C+I+G+Nx, Y=C+S+T(C:소비 I:투자 G:정부지출 Nx:순수출 S:민간저축 T:세금)를 이용해 민간 부문 저축과 정부 저축의 합인 국민저축을 구하면?(정부저축은 세입과 세출의 차이다)

가. 소비지출 6000억 원, 투자지출 2000억 원
나. 정부지출 1000억 원, 조세수입 800억 원
다. 수출 4000억 원, 수입 3000억 원

① 2600억 원
② 2800억 원
③ 3000억 원
④ 3200억 원
⑤ 3400억 원



02 해설
국민소득은 한 나라 안에 있는 가계·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1년) 동안 새롭게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합산한 것으로, 한 나라의 경제 수준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국민소득은 포괄 범위나 평가 방법 등에 따라 국민총소득(GNI), 국내총소득(GDI), 국민소득(NI), 국민처분가능소득(NDI) 등으로 나뉜다. 국민들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총소득은 총생산 및 총지출과 같은 데 이를 국민소득 회계의 기본 항등식이라고 한다.

문제에서 Y(총생산=총소득=총지출)는 소비와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의 합이므로 Y=6000억 원+2000억 원+1000억 원+1000억 원=1조 원이다. 이를 Y=C+S+T 식에 대입해 보면 1조 원=6000억 원+S+800억 원에서 S(민간저축)=3200억 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부저축은 세입과 세출의 차이므로 세입 800억 원에서 세출(정부지출) 1000억 원을 빼면 마이너스 200억 원이다. 따라서 민간저축과 정부저축의 합인 국민저축은 3200 억원-200억 원=3000억 원이다.

정답 ③



03 다음 중 수요곡선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재화의 가격 변화
② 인구구조의 변화
③ 수요자의 소득 변화
④ 대체재의 가격 변화
⑤ 소비자 선호의 변화


03 해설

다른 조건이 불변일 때 어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락)하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감소(증가)하는 것을 수요의 법칙이라고 한다. 수요곡선은 이처럼 한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일반적으로 우하향하는 모습을 띠게 된다. 가격이 변하면 수요는 수요곡선상을 따라 늘거나 줄어들게 된다. 이 수요곡선은 조건이 바뀌면 오른쪽(수요 증가)이나 왼쪽(수요 감소)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변수에는 ▷소득 ▷연관재의 가격 ▷취향 ▷미래에 대한 기대 ▷구입자의 수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소득이 늘면 자동차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한다. 컴퓨터가 잘 팔리면 소프트웨어 수요 또한 증가하는 것처럼 연관재의 가격도 수요곡선을 이동시킨다. 재화의 성격에 따라 소득이 늘어나면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정상재)이 있는 반면 거꾸로 수요가 줄어드는 상품(열등재)이 있다. 또 연관재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대체재)이 있는 데 반해 수요가 줄어드는 상품(보완재)도 있다. 문제에서 재화의 가격 변화는 수요곡선상의 이동을 초래하지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정답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