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Up

강 회장의 발언은 지난 6월 정부가 산은지주의 우리금융 인수에 제동을 걸면서 M&A를 통한 민영화가 사실상 어려워진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받았다. 강 회장은 이어 “민영화는 2014년까지만 이뤄지면 되기 때문에 아직 시간이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2014년이라는 기한은 기획재정부가 지난 8월 새로 마련한 산업은행 지분 매각 계획 변경안에 따른 것이다. 재정부는 당초 2013년까지 예정돼 있던 지분 매각 계획을 1년 뒤로 미뤄 2014년까지 완료하기로 결정했다. 재정부의 방침이 달라진 건 산은지주 민영화와 관련한 대내외 여건이 처음과는 많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우리금융지주 인수 무산이다.
강 회장은 평소 ‘메가 뱅크’ 신봉론자로 불릴 만큼 초대형 은행에 대한 신념이 강한 인물이다. 이 때문에 산은지주 회장 취임 초기만 해도 우리금융 등의 M&A를 통한 민영화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대형 매물인 우리금융 인수가 지지부진해지면서 민영화 추진이 다소 주춤한 양상이다.

9월 29일 기자간담회장에서도 강 회장은 민영화에 대한 의지를 확고히 밝혔다. 새로 얻은 시간적 여유와 함께 “민영화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고 언급했던 것. 강 회장의 이런 발언은 지난 10월 26일 구체적인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정부와 산업은행 등에 따르면 산은지주와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 실무진이 산업은행 민영화 세부 추진 계획의 일환으로 산은지주 기업공개(IPO)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다. 이는 M&A를 통해 수신 기반을 확대한 뒤 상장하겠다는 기존 전략의 수정을 의미한다.
산은지주는 국내외 은행의 M&A와 IPO를 병행 추진할 방침이다. M&A가 됐든 IPO가 됐든 민영화와 관련해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 차기 정권에서도 민영화 추진 일정이 틀어질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IPO를 통한 민영화 추진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이는 역시 강 회장이다. 강 회장은 최근 골드만삭스와 JP모건 등 해외 투자자들을 직접 만나 IPO 추진 시 투자 의향을 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사안 지시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 사안을 챙기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 2분기 산은지주의 자기자본은 23조 원 규모로, 현재 국내 은행권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을 고려하면(0.5~0.9%), 산은지주가 상장됐을 때 시가총액은 11조5000억~20조70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국내 1~2위권인 신한금융(2조 원), KB금융(16조 원)에 버금가는 규모다.
장진원 기자 jjw@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