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대상과 부채 정리 자금 ‘구분’

가계 부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가계 부채 규모는 대략 1000조 원 정도로 사상 최고치다. 반면 부동산을 제외한 가계 금융자산은 약 2000조 원이다. 예를 들어 1억 원의 금융자산을 갖고 있다면 5000만 원 정도를 빚지고 있는 셈이다.

금융자산과 부채 규모를 놓고 보면 현재 금융자산을 처분해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가계가 부채를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문제는 가계 부채가 증가할 요인이 앞으로 더 많다는 데 있다.

대차대조표상에서 부채 문제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의 가격이 올라 부채의 비중을 떨어뜨리거나 아니면 금융자산이 더 높은 수준으로 증가해야 한다. 아니면 일을 해서 버는 돈 즉, 소득이 지금보다 더 많아져야 한다. 3가지 요소가 개선되면 자연스레 부채 문제는 시간과 함께 해결된다. 그러나 3가지 요소를 개별적으로 들여다보면 결코 상황이 만만치 않다.

선택과 집중의 자산 관리법
[이상건의 재테크 레슨] 부채 위험 노출, 자산 관리는?
먼저 부동산 시장은 최근 침체를 겪고 있고 투자자들도 주택 구입보다 전세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전세금은 2009년부터 3년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연일 최장 기록을 깨고 있다. 전셋값의 상승은 전세 자금 대출의 증가를 가져와 가계 부채 규모를 키우고 있다.

전세는 정부가 정책 카드를 쓰기 어렵다. 왜냐하면 구입 시장과 달리 투기적 요소가 있는 것이 아니라 100% 실수요 시장이기 때문이다.

주택 가격이 오르면 세금을 올리고 거래에 각종 규제 제도를 도입해 가격 상승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하지만 전세금을 올려준다고 해서 세입자에게 돌아오는 경제적 이득이 없기 때문에 전세 시장에는 투기적 요소가 개입될 수 없다. 이런 정책의 한계로 전세금이 계속 오른다면 가계 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

금융자산의 증가도 당분간 쉬워 보이지 않는다. 2000년대 들어 코스피 지수가 2000대에 도달하면서 주식 관련 금융자산이 크게 증가하고 인구구조상에서도 본격적인 자산 운용을 시작하는 중·장년층의 인구가 많아지면서 금융자산이 비약적으로 증가해 역사상 처음으로 2000조 원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주식시장이 글로벌 금융 위기로 휘청거리면서 주식 자산을 통한 금융자산의 증가가 단기간에 좋아지기는 어려워졌다.

금융자산이 증가할 수 있는 또 한 가지 방법은 저축을 많이 하는 것인데, 한국 가계의 저축률은 3.5%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저축률이 늘어나기 위해서는 소득이 불거나 대출금에 대한 부담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경기 침체로 개인들의 소득 증가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여기에 전셋값 상승 등으로 대출 부담이 겹쳐져 저축액이 늘어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부채 위험을 해결하는 방법은 빚을 모두 갚는 것이다. 하지만 빚을 지고 싶어서 지는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부채 위험에 노출된 상황에선 자산 관리에서 선택과 집중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 유지해야 할 투자 대상과 시장 상황을 봐 가면서 정리하고 부채 상황에 쓸 자금을 구분해 전자에 집중해야 한다. 길게 보면서 유지해야 할 대표적인 투자 대상은 노후와 관련된 것이다. 연금펀드·변액연금·퇴직연금 등 장기성 자금에 우선순위를 두고 자산을 운용해야 한다. 이들 장기 상품은 노후 준비를 위한 수단이면서 시간이 흘러 시장이 좋아지면 현재 싸게 사 놓은 자산의 가격이 올라 수익을 낼 수 있는 성격을 갖고 있다.

또 한 가지 생각해 봐야 할 주제는 모든 위기는 반드시 양극화를 낳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위기를 겪으면서 기존에 부를 축적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간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이다. 양극화는 자산시장에도 양극화를 낳기 때문에 투자 대상을 선별할 때 차별화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모든 자산이 오르는 시대는 지났다.

이상건 미래에셋 투자교육연구소 상무 sg.lee@miraeass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