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국방부·문화관광부·산림청·농진청

이명박 대통령이 새해 제1 국정 목표를 일자리 창출로 정함에 따라 각 부처의 2010년도 업무 계획도 모두 일자리가 화두다. 산림청은 숲 가꾸기 사업, 산림 서비스 도우미 사업 등 13개 산림 사업을 통해 5만여 명,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행정 인턴, 정보기술(IT), 재해 예방 부문 등 4개 분야를 통해 약6만1300명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통해 문화 분야 공공 부문에서 1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문화관광부 박소정 기획행정관리담당관실 사무관은 “경제 회복에도 불구하고 민간 부문 투자가 지체되고 있어 일자리 회복이 더딜 전망”이라며 “재정 사업을 통해 공공 부문의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지원 할 것”이라고 밝혔다.먼저 행정안전부는 행정 인턴, IT, 재해 예방 부문 등 4개 분야를 통해 6만1300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우선 예산 511억여 원을 들여 행정 인턴 1만3300명을 고용할 방침이다. 기업·행정 인턴의 수요를 반영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중소기업 구인 프로그램과 연계해 인턴 희망별 취업 훈련 등도 한다. 충분한 자기계발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근무시간도 탄력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2009년에는 주 40시간, 8시간, 5일 근무했다면 2010년에는 주 30시간, 4~8시간, 4일 근무한다. 행정 인턴은 상반기에 75% 정도 조기 채용할 방침이다. 상반기에는 중앙 3000명, 지방 7000명, 하반기에는 중앙 1000명, 지방 2300명을 고용한다.IT 부문에선 예산 약 300억 원을 들여 IT 전문 교육 실시 등을 통해 4000여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방침이다.재해 예방 부문에선 약 1만400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예산은 8879억 원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하천 607개소, 재해 위험 지구 190개소를 정비하며 우수 저류시설 14개소를 설치함으로써 실현하겠다고 행안부 관계자는 밝혔다.이와 함께 행안부는 향토 자원 조사, 지역 안전 지킴이, 사회복지 도우미, 방과후 교사 등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약 3만 명에게 일자리를 만들어줄 계획이다.이 밖에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기업·대학과 협력해 ‘일자리종합센터’를 운영할 방침이다. 기업·대학·자치단체 간 양해각서(MOU) 체결, 구인·구직 및 취업 훈련도 알선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일자리 전략회의’를 행안부와 자치단체 주최로 개최하고 월 1회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이라며 “자치단체 일자리 조성 실적을 평가해 우수 자치단체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국방부는 유급 지원병을 확대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유급 지원병 제도는 의무 복무 기간을 마친 후 하사로 임관돼 연장 복무하면서 일정 수준의 보수를 받으며 복무하는 제도다. 일자리 창출과 국방부의 육군·해군·해병대·공군의 첨단 장비 운용과 전투력을 발휘하는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2008년부터 도입됐다.국방부 김희연 정책홍보 팀장은 “유급 지원병 제도로 일자리가 증가됐을 뿐만 아니라 전투력 또한 향상돼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고 있다”며 “2010년에는 약 2000명을 유급 지원병으로 선출할 계획이다. 만약 추가경정예산이 편성된다면 이보다 더 많이 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문화관광부는 문화 예술 교육을 활성화하는 등 사회 서비스 사업을 가속화하고 국민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일자리를 적극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관광 숙박시설 융자 지원을 확대하고 건축 기준을 완화함으로써 중저가 숙박시설 투자 확대를 유도할 예정이다.이와 함께 문화관광부는 서비스 선진화를 통해 미래형 일자리 기반을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선 콘텐츠 분야 1인 창조 기업 육성과 연구·개발(R&D)을 지원하며 방송 영상 산업 분야 등 맞춤형 전문 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문화관광부 박 사무관은 “문화 산업 투자와 출자 조합 결성 등을 통해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며 “창조 산업 발전을 위해 저작권 보호를 활성화하고 MICE(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 기업회의·보상관광·컨벤션·전시회의 약칭)·의료·쇼핑·공연관광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 관광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전문 인력 양성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전국 농경지 토양 검정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고학력 청년 150명에게 일자리를 확보해 줄 방침이다. 토양 검정 결과를 ‘흙토람(한국토양정보시스템)’과 연계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적극 실시하겠다는 것. 전국 150개 농업기술센터에 1명씩 배치해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국내에서 학사 학위 이상 취득한 이공계대 졸업생들에게 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연수 기회도 제공할 방침이다. 4개 연구기관 267개 전문 연구실에 총 310명을 채용한다. 박사 학위를 취득한 젊은 과학자들에게는 농진청 연구기관에서 책임감 있게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한다. 4개 연구기관 267개 전문 연구실에 총 104명을 고용할 예정이다.계약직 연구원과 단기 근로자 4615명도 모집한다. 이들은 농진청과 4개 소속 연구기관 시험 연구 사업과 행정 업무를 보조하는 일을 하게 되며 농업 기술 개발 현장 경험을 통해 전공 분야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이공계대, 글로벌 인턴 연구원 등의 연수자 중 석사급 우수 인재를 무기 계약직 연구원으로 채용해 연구 공백을 막겠다는 계획도 밝혔다.국산 원료를 기반으로 농촌 여성의 소규모 가공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와 여성 농업인의 경제적 역량을 높이겠다는 포부도 내비쳤다.농진청 관계자는 “농촌 현장 인턴으로 1200명을 고용해 지방 농촌 지도 기관의 부족한 인력을 보완하고 청년 실업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농업 분야 연구직 공무원 41명을 2월 12일께 공개 채용할 계획도 수립했다”고 말했다. 농업 분야 연구직 공무원 채용 분야는 작물·원예·축산·수의·작물 보호 등 전문 연구 인력이다.산림청은 2010년 한 해 동안 국비 8414억 원을 투입해 46만 헥타르(ha)의 숲을 가꿔 탄소 흡수원 확충과 실업 문제 해결에 나선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숲 가꾸기 사업(2만2000명), 산림 서비스 도우미 사업(2040명), 산림 보호 강화 사업(1541명) 등 13개 산림 사업을 통해 5만여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녹색 일자리 근로자에게는 1일 3만5000원에서 4만5000원의 임금과 5000원의 부대비가 지급된다.산림청 관계자는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때 정부 실업 대책 사업의 일환으로 숲 가꾸기 공공 근로 사업을 5년간 추진해 총인원 1554만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 경험이 있다”며 “지난해에도 숲 가꾸기, 숲 해설가, 숲길 정비 등과 같은 녹색 일자리 사업을 통해 취업이 어려운 계층에게 총 6만4000개의 일자리를 제공했다”고 말했다.김선명 기자 kim069@kbizwee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