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9일 ~ 7월 3일

세계 조선·해운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국내 유력 조선 업체들이 올해 상반기 매우 초라한 수주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업체들은 거액이 걸린 해양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가 올해 하반기에 발주되는 만큼 계약을 따내 부진을 만회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7월 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이른바 국내 ‘빅3’ 조선사들은 올해 상반기 조선·해양 분야 수주액이 3사를 합쳐 12억3000만 달러(5척)에 그쳤다. 조선 업황이 최고조에 이르던 작년 상반기 3개 회사의 수주 실적이 204척, 341억1000만 달러에 달했던 점과 비교하면 형편없는 실적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6월 단 한 척의 선박도 수주하지 못했다. 다만 해양 플랜트 부문에서 기존에 수주한 물량 중 추가 공사가 발생해 2억5000만 달러의 수주액을 기록했다.<경제 정책>정부는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이 담보나 보증 없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 크레디트’ 취급 기관을 현행 25곳에서 200~30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6월 30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 합동 브리핑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하반기 서민생활 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총 2조94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금융·보육·주거·의료 등 6개 분야에 걸쳐 저소득층 및 서민층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게 이번 대책의 핵심이다. 신용 등급이 낮은 저소득 근로자 16만7000명에게 월 500만 원 한도 내에서 생계비 대출을 지원해 주고 영세 자영업자 15만7000명, 노점상 등 무등록·무점포 사업자 38만 명에게 총 3조4000억 원 규모의 추가 보증을 지원해 주기로 했다.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75% 인상된다. 최저임금위원회는 6월 30일 새벽 공익위원의 조정안을 놓고 투표를 벌여 내년 최저임금을 시간급 4110원으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6월 29일 오후 7시부터 전원회의를 열어 노동계와 경영계 안을 놓고 협상을 계속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결국 표결을 통해 최저임금을 정했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올해 최저임금 시간급 4000원보다 2.75% 인상된 것으로,외환 위기를 겪던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적용된 최저임금 이후 가장 낮은 인상률이다.<증권 금융>국내 증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들이 나오면서 증권사들도 국내 주식형 펀드를 적극적으로 추천하고 나섰다. 증권사들은 7월 1일 보고서를 통해 7월과 하반기의 자산 배분 전략에서 국내 주식형 펀드에 꾸준한 관심을 가질 것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상반기가 ‘유동성 장세’였다면 하반기에는 ‘실적 장세’로 변화된다면서 성장형 펀드에 투자하라고 조언했다. 동양종합금융증권은 “지난 6월 초에 제시한 위험 자산 주도형 자산 배분 비중을 7월에도 유지한다”며 “경기 순환적으로 국내외 경기가 초기 회복 국면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대출 중개 업체들이 금융사 대출을 알선해 주고 대출액의 15%가량을 수수료로 챙기면서 소비자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월 ‘불법 대출 중개 수수료 피해신고 코너’를 설치한 이후 5월 말까지 964건,8억7800만 원 규모의 피해 신고를 받았다고 6월 29일 발표했다. 금감원은 이 중 802건(6억4900만 원)은 대부 중개 업체로 하여금 중개 수수료를 반환하도록 조치했고 37건은 반환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기업 산업>시중에서 판매되는 컵라면 10개 중 9개가 열량이 높고 영양가는 낮은 ‘비만 식품’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 시행 후 시중에 유통되는 어린이 기호식품 2165건을 대상으로 영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컵라면의 89%가 고열량 저영양 식품에 해당된다고 7월 2일 밝혔다. 이번 식약청 조사에서 식사 대용 식품 중 피자(86%)와 햄버거(83%)도 대부분이 고열량 저영양 식품으로 분류됐다.정치권의 공방으로 비정규직법 개정안이 통과되지 못한 여파가 공공기관의 비정규직 직원들에게 몰아닥쳤다. 한국토지공사는 6월 말로 계약 기간 2년이 된 비정규직 직원 145명에게 계약 만료 사실을 통보했다고 7월 1일 밝혔다. 이들 비정규직 직원들 대부분은 7월 1일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택공사도 6월 30일자로 계약 기간 2년이 된 직원 31명에게 계약 만료 사실을 통보했다. 주공은 아직 2년이 되지 않은 비정규직 직원도 300여 명에 이르고 있어 법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대규모 실직 사태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정리=김선명 기자 kim069@kbizwee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