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북아 경제론강정모 외 지음/FKI미디어/2003년/596쪽/2만5,000원세계화와 더불어 지역간 연계성이 점점 강화되는 추세다. 이런 시대상황 속에서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 등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는 가장 역동적이고 유망한 지역 가운데 한 곳으로 손꼽일 것이다.저자들이 서문에서 밝히듯 <신동북아 경제론 designtimesp=23679>은 이런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준비된 책이다.“오늘날 개별국가간의 경제적 연계성이 강화되는 지역화 추세와 동북아시아의 급변하는 상황에서 이 지역 경제에 대한 인식과 접근이 새로워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따라서 동북아시아 경제론을 쓰기로 마음먹은 동기는 이 지역 경제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과 재평가를 통해 한국의 향후 경제발전 전략을 세우는 데 필요한 정책적 방향과 좌표를 제공할 필요성 때문이다.”이 책은 단순히 동북아시아 주요국가들의 경제를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국 경제의 발전모델과 전략, 그리고 앞으로 발전 잠재력과 역동성을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과 동북아 경제의 연계성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그동안 동북아 경제나 아시아 경제를 다룬 각론 수준의 단행본들은 많았지만 이처럼 동북아 경제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원론으로 제시된 책은 그리 흔하지 않다.1장은 동아시아 경제발전 모형을, 2장은 동북아시아 경제발전과 경제협력 구도를, 3장은 한국경제 발전전략으로서 동북아 중심 국가 건설을, 4장은 북한경제의 현황과 경제발전을 다루고 있다.5장부터 10장은 각각 일본경제, 중국경제, 한ㆍ중관계, 대만경제, 러시아 그리고 몽골경제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 장인 11장에서는 동북아 물류체계의 현황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이런 연구는 그 방대함 때문에 한 사람의 지식과 노력으로 체계화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여러 사람이 단일 주제를 놓고 팀워크를 발휘하는 것 또한 국내 학계 분위기상 흔치 않다.따라서 다양한 분야의 여러 학자들이 함께 정리해 놓았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반드시 언급해야 할 또 다른 장점은 동북아 경제를 다룬 각론의 성격이 여타 단행본에 비해 충실한 통계자료와 문헌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아무튼 필자를 포함해 독자들은 한 권의 책을 통해서 세계와 동북아, 그리고 한국간의 연계관계와 전략을 정리해 볼 수 있는 귀한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안목과 시계를 한층 넓혀서 좀 멀리, 그리고 장기적으로 나라, 사업, 삶의 앞을 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경영인의 눈으로 다시 읽는 비즈니스 동화글로리아 길버트 메이어 외 지음/신현승 옮김/범문사/336쪽/1만2,000원‘비즈니스 협상시 모든 조건이 너무 좋아서 현실처럼 느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대개 허황된 것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헨젤과 그레텔 동화의 교훈이다. ‘성냥팔이 소녀’ ‘잠자는 숲 속의 미녀’ 등 27편의 고전동화를 현대 경영환경에 맞게 패러디해 이로부터 경영교훈을 이끌어내고 있다.전형적인 미국인한스 디터 겔페르트 지음/이미옥 옮김/에코리브르/248쪽/1만1,000원미국에 대한 적개심이 어느 때보다 널리 퍼진 요즘이지만 저자는 반미가 아닌 객관적 시각으로 미국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인의 구성과 미국의 뿌리를 구성하는 사상ㆍ종교 등을 분석해 미국의 현 상황을 이해하고자 했다. 정치ㆍ경제뿐만 아니라 문화ㆍ예술까지 모든 분야의 미국적 특성을 아우른다.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기술존 코터 외 지음/김기웅 외 옮김/김영사/284쪽/1만2,900원변화관리전문가인 저자 존 코터는 리더가 조직원을 움직이는 기술이 따로 있다고 설명한다.딜로이트컨설팅과 함께 미국과 유럽, 호주, 남아프리카의 130여개 조직에서 변화를 이끈 실무자들을 인터뷰했다. 이를 바탕으로 ‘감정’이 핵심인 ‘See-Feel-Change’ 전략을 혁신 실천법으로 제안하고 있다.대공황의 세계적 충격디트마르 로터문트 지음/양동휴 외 옮김/예지/268쪽/1만3,000원일부 경제학자들은 현 경제 상황이 지난 1929년 대공황 때와 흡사하다고 지적한다. 이라크전 이후 불황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따라서 저자는 1929년 당시 미국의 대공황이 어떤 영향을 끼치며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갔는지를 밝혀놓았다. 당시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 경제 상황의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