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원유 수요의 회복 속도에 연동되며 완만하게 상승
[돈이 되는 경제지표]
6월 2일(현지 시간) 기준으로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7월 인도분은 전일 대비 1.1달러, 1.16% 올라 배럴당 68.83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WTI는 장중 배럴당 69.0달러까지 상승하며 2018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북해산 기준유 브렌트유 7월 인도분도 전일보다 1.1달러, 1.6% 상승한 배럴당 71.35달러에 장을 마쳤다. 브렌트유는 이날 배럴당 71.48달러까지 뛰어올라 2020년 1월 이후 1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번 상승은 6월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회의에서 산유국들이 회의 시작 30분 만에 기존 감산 완화 정책을 유지하기로 결정하고 하반기 원유 수요를 낙관적으로 전망하면서 관련 기대감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감산 완화 계획에 따른 OPEC+의 증산분은 7월까지 합의돼 있고 6월 중 하루 70만 배럴, 7월에는 하루 84.1만 배럴이 추가로 공급될 예정이다.
한편 유가 상승으로 미국의 휘발유 가격이 갤런당 3달러를 웃돌기 시작했다. 연초 대비 약 35% 오른 수준이다. 2010년 이후 미국 휘발유 가격의 역사적 평균이 2.8달러에 불과하고 특히 현재 가격이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계감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경제가 충분하게 회복되기 이전에 유가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비용 증가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커질 수 있고 인플레이션 압력발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경계 심리도 불가피해진다”고 말했다. 전 애널리스는 “미국을 필두로 주요국 간 에너지 가격 조절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당분간 수요 주도의 유가 상승 국면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애널리스트는 “국제 유가는 당분간 글로벌 원유 수요 회복 속도에 연동되며 완만하게 상승하는 흐름을 기대한다”며 “미국의 드라이빙 시즌 시작, 백신발 경제 정상화 등을 고려할 때 2분기에서 3분기 초까지 국제 유가의 상방 압력이 높은 구간이 전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