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정치판 뒤엎고 세력 교체, 아래로부터 반란, ‘경장’ 필요”
과거 3지대 실패 불구 여의도 정치 완전 탈색, 새 정치 실험
전문가 “위험 부담 높지만 ‘하이 리턴’ 될 수 있다”
유권자들이 거대 양당 미련 버릴 만큼 매력적 비전 제시가 관건

[홍영식의 정치판]
(사진)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사진)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우리 정치사에서 대선 때만 되면 제3지대, 제3후보가 으레 등장했다. 하지만 3김(김영삼·김대중·김종필) 정도의 정치 거물을 제외하고 제3지대에서 대선에 성공한 예는 없다. 정치 신인은 더욱 그랬다. 기존 양당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기반으로 등장해 중도를 노렸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정주영 통일국민당 후보는 1992년 대선 때 바람을 몰고 왔지만 16.3% 득표에 그쳐 김영삼 민자당 후보와 김대중 민주당 후보에게 뒤졌다. 박찬종 신정치개혁당 후보도 찻잔 속 미풍에 그쳤다. 1997년 대선 때 신한국당 경선에서 패배하자 탈당해 국민신당을 만들어 출마한 이인제 후보는 19.2%밖에 득표하지 못했다. 그의 출마는 결과적으로 보수표를 분산시켜 김대중 국민회의 후보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에게 39만여 표(1.6%)차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02년 대선 땐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가 제3후보로 나섰지만 노무현 민주당 후보와 단일화 경선에서 패했다. 고건 전 국무총리는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유력한 제3후보로 떠올랐지만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고 전 총리 기용은 실패한 인사”라고 한 뒤 지지율이 하락했고 이듬해 1월 뜻을 접었다. 유한킴벌리 사장을 지낸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도 제3후보로 나섰으나 득표율 5.8%에 그쳤다.

제3후보들이 대선전에서 번번이 좌절한 것은 여러 이유가 있다. 대부분 확실한 지역적 기반이 없는 데다 선거를 앞두고 당을 급조하다 보니 아무래도 기존 거대 정당에 비해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기존 정당에 실망한 무당파 지지를 묶어낼 만한 차별성도 가지지 못했다.

김동연의 선택, 위험 부담 높지만 하이 리턴 될 수도”

내년 3월 9일 실시될 예정인 대선을 앞두고 제3지대론이 나온다. 당초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제3지대 유력 후보로 거론됐지만 국민의힘에 들어가 버렸다. 관심은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다. 그는 지난 20일 고향인 충북 음성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그는 출마 선언을 하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사례를 언급하며 “기존 정치권에 숟가락을 얹지 않고 완주하겠다”고 했다. “중앙집권적이고 비민주적인 의사 결정, 주민 참여 없이 기득권 유지를 위해 그들만의 리그를 벌이는 거대 양당 정치로는 묵은 문제를 해결하고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제 3지대 세로운 정치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기자는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김 전 부총리와 만날 기회를 여러 번 가졌다. 그때에도 그는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과 함께 새 정치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의 진영 싸움 모습은 국가 발전에 좋지 않다고 본다. 싸움을 위한 싸움을 하고 있고 사회 담론과 미래 발전을 위한 얘기를 하지 않으면서 진정한 진보·보수의 가치는 어디로 가고 없다. 어느 쪽도 환골탈태해 제대로 된 가치와 거기에 따른 국가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 정치가 언제까지 이기기 위한 경쟁에 매몰돼 싸워야 하나. 국민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정책 경쟁의 장, 그리고 진영 논리를 깨는 상상력을 만들어야 한다. 한두 명 정도의 새 피를 수혈하는 정도가 아니라 세력 교체에 준하는 변화가 있어야 우리 정치가 변할 수 있다. 이제는 우리 정치에서 이기기 위한 ‘경쟁’이 아니라 새로운 판을 짜는 ‘경장(更張)’이 필요하다.”

“진영과 추격·세습·거품 경제의 금기를 깨는 것은 소수의 정치 엘리트 등 우리 사회의 한 줌도 안 되는 상류 사람들이 할 수 없는 일이다. 이제는 다수의 대중과 시민들이 그런 일을 해야 한다. 아래로부터의 반란이 필요하다.”

김 전 부총리는 최근 언론 인터뷰 등에서도 제3지대 창당 의지를 밝혔다.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기득권 정치권에 숟가락 얹을 생각이 전혀 없다”며 “정치 교체를 위해 세력을 모을 것이고 신당 창당과 같은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함께 일한 윤 전 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에 대해선 “저와 동일선상에 놓지 말라”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를 만난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우리 사회가 총보수 대 총진보의 대결로 짜여 가고 있다 보니 이쪽도 저쪽도 만족하지 못하는 중도층이 마음을 둘 곳이 없다. 이분들을 붙잡아 줄 틀이 필요하다는 얘기를 했다”며 “제3지대를 중심으로 하는 창당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말했다.

정치 경력이 전혀 없는 김 전 부총리가 제3지대에서 창당한다면 성공할 수 있을까. 과거의 실패 사례를 보면 쉽지 않은 길이다. 하지만 이전과 단순 비교할 수 없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과거 제3지대 창당 뒤 대선 도전에 실패한 사례를 보면 후보가 정치 경력이 있든 없든 여의도 정치권에 기반을 뒀다. 이들을 떠받친 세력은 모두 기존 정당 정치에 뿌리를 뒀다. 기존 정치권에 얹혀가면서 ‘나만의 차별화된 브랜드’를 보여주지 못했다.

반면 김 전 부총리는 기득권 정치와는 완전히 다른 세력을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경제부총리에서 물러난 뒤 지난 2년 7개월 동안 민생 행보를 통해 전국을 다니며 밑바닥 정서를 살피고 민초들의 얘기를 들었다. 그가 꾸준히 강조해 왔던 ‘아래로부터의 반란’이다. 일종의 새 정치 실험이다. 선거 경험이 풍부한 이정현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대표의 분석이다.

“중원이 절대 중요하다. 유권자 중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고정 지지층이 각각 20% 안팎 정도 되고 중원은 적어도 50%가 된다.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이 국민의힘에 들어가면서 중도층의 마음이 갈 곳을 잃었다. 기존 정치인들은 세상 변한 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지금 김 전 부총리가 취하고 있는 스탠스는 아주 위험 부담이 높지만 ‘하이 리턴’이 될 수 있다. 국민들은 기존 정당들에 매우 실망하고 있다. 김 전 부총리가 외치는 승자 독식 깨기, 청와대 중심 국가 탈피 등에 대해 국민들은 좋아할 것이다. 밖에서 철저하게 기존 정치 행태를 비판하고 자신의 장기인 경제와 금융, 기업 정책을 얘기하면 국민들은 귀를 기울이고 돌풍을 일으킬 수 있다. 마크롱 대통령이 창당한 앙 마르슈(전진하는 공화국)가 될 수 있다.”

安 “만나자”에 “그럴 계획 없다…세 유불리 안따져”
(사진)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허문찬 한국경제신문 기자
(사진)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허문찬 한국경제신문 기자
물론 과제도 있다. 이 전 대표는 “혼자만으로는 안 되는 만큼 자기 자신을 너무 과신 말아야 한다”며 “정치권 바깥에서도 아주 괜찮은 인재들이 많다. 신선하면서도 다이내믹한 인물과 함께한다면 다른 후보들과 비교될 것”이라고 했다.

정치 초년병이 거대 정당의 벽을 뛰어넘을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없지 않다. 역대 대선에서 박찬종·이인제·고건 후보가 선거 초반 돌풍을 일으켰지만 막판 표심은 거대 양당에 수렴됐다. 지금 신당을 만들더라도 기존 정당 만큼 조직력을 갖추기 쉽지 않다. 과거 제3후보 실패 때문에 정치권 바깥 유능하고 참신한 인재들이 얼마만큼 모일지도 미지수다. 기왕 제3후보로 나서기로 했다면 김 전 부총리의 메시지와 비전이 유권자들로 하여금 기존 정당에 대한 미련을 확 버릴 수 있을 만큼 호소력 있게 다가설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과 합당 결렬을 선언하고 독자 행보를 공식화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의 연대설도 제기된다. 진 전 교수는 “가능성 정도는 열어두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안 대표는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고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생각을 가진 분이라면 어떤 분이라도 만나 의논할 자세가 돼 있다”며 김 전 부총리와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김 전 부총리는 이를 거부하고 “내가 추구하는 것은 정권 교체·재창출을 뛰어넘는 판 자체를 바꾸겠다는 것”이라며 “뚜벅뚜벅 내 갈 길을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의도 정치색은 조금이라도 입히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홍영식 대기자 겸 한국경제 논설위원 yshong@hna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