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정의선·최태원·구광모 ‘조용한 한가위’
해외 대신 국내에서 미래 전략 준비
반도체·배터리·수소·전장·AI 경영 현안 챙겨

재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해외 출장이 제한된 상황에서 주요 그룹 총수들이 국내에서 반도체·배터리·수소·전장·인공지능(AI) 등 주력 사업 현안을 챙기며 하반기 미래 사업 전략을 점검하는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생존 전략을 모색할 전망이다.
그동안 명절 연휴를 이용해 활발한 해외 현장 경영을 이어왔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올 추석에는 자택에 머물며 미래 사업을 구상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8월 13일 이 부회장의 가석방을 결정한 이유로 경제 회복과 코로나19 백신 확보 등을 언급한 만큼 이 부회장이 제2 파운드리 공장 부지 선정과 코로나19 백신 공급 확대를 위해 미국 출장길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취업 제한 논란 등을 고려해 출장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시급한 사업 현안인 반도체와 글로벌 인수·합병(M&A) 계획을 점검할 것으로 전해졌다. 가석방 후 이 부회장의 첫 외부 공개 일정은 9월 14일 김부겸 국무총리를 만난 것이었다.
이날 이 부회장은 김 총리와 만나 ‘청년희망 ON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맺고 3년간 총 3만 개의 일자리 확대 계획을 밝혔다. 이는 8월 24일 발표한 3년간 4만명을 채용한다는 계획과는 별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국내에서 경영 현안을 챙길 것으로 전망된다. 정 회장은 9월 7일 ‘하이드로젠 웨이브’ 글로벌 온라인 행사에서 ‘수소 비전 2040’을 선포했다.
2040년을 수소 에너지 대중화의 원년으로 삼고 앞으로 내놓을 모든 상용차 신모델을 수소 전기차와 배터리 전기차로만 출시한다고 선언했다. 정 회장은 친환경 전략의 추진 상황을 살피고 로보택시와 자율주행,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등 미래 모빌리티 사업도 챙겨볼 것으로 알려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국내에서 하반기 경영을 구상할 것으로 전해졌다. 10월 열리는 SK그룹 최고경영자(CEO) 세미나에서 논의할 현안을 살필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중립 실현과 수소사회 구현 등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방안과 반도체·배터리 사업 전반을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매년 10월 제주나 이천에서 열리는 CEO 세미나는 SK그룹의 대표적인 연례 행사다. SK그룹은 CEO 세미나에서 그해 경영 성과를 점검하고 다음 해 경영 전략을 논의해왔다. 최 회장은 지난해 CEO 세미나에서는 파이낸셜 스토리를 발표한 바 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 역시 자택에 머물며 전자·배터리·화학·전장 등 경영 현안을 챙기고 미래사업 구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는 최근 구 회장의 미래 성장동력 육성 전략에 따라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신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LG노바’를 출범시켰다. 구 회장이 벤처투자에 관심이 높은 만큼 지속 가능한 성장과 미래 준비를 위해 그룹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혁신 스타트업과의 협력과 투자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는 게 재계의 관측이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