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카드뉴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본격화... 집값 내려갈까?
2020년부터 인구 감소가 본격화됐어요.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 총인구가 사상 처음 감소할 전망이에요.

이에 따라 인구 감소가 주택 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커지고 있어요.

일부 전문가들은 인구 감소에 따른 집값 폭락이 시작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한편 일부는 1인 가구가 증가하는 만큼 집값 상승이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죠.

실제로 인구가 감소하는 속도만큼 가구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요. 성인 자녀의 독립 혹은 황혼 이혼 등을 이유로, 가구 분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에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9.2%로 1위를 차지했어요. 5년 전보다 1.5배나 증가한 수치죠.

총가구 수 증가는 집값이 오르기에 충분한 요인이에요. 가구 수가 증가하는 만큼 주택 수요도 강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통계청의 '1인 가구' 자료에 의하면 1인 가구의 33.7%가 60세 이상 노인으로,
4인 가구 대비 경제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경제활동이 끝난 노인 인구를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늘고 있어요.

실제로 1인 가구의 소득과 자산이 전체 가구 평균의 각각 36.5%, 39.4% 수준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였어요. 이에 따라 주택 수요도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주택 구매 위한 자금 대출을 희망하는 1인 가구는 15.8%에 불과했죠. 따라서 가구 수로 주택 수요를 파악하긴 어려워요.

앞으로는 전체 인구 중 특히 생산가능인구, 즉 일하는 인구가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보여요. 2032년까지 25~59세 인구 350만 명이 사라지게 되죠. 인구 절벽 충격은 시점의 문제일 뿐 주택 시장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요.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