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의 전월세 거래는 총 25만8318건으로, 이 가운데 월세가 50.4%(13만295건)를 차지해 전세 거래량 49.6%(12만8023건)를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월세 거래량이 50%를 넘고 전세 거래량을 추월한 것은 정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올해 1∼4월 누적 거래 기준으로 보면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의 비율은 48.7%로 작년 같은 기간(42.2%)보다 6.5%포인트, 5년 평균(41.6%)과 비교해서는 7.1%포인트 각각 높았다.
국토부는 월세 비율이 높아진 이유로 2020년 7월 도입된 ‘임대차 3법’의 영향이 크다고 봤다.
특히 작년 6월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된 이후 그동안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던 오피스텔과 원룸 등 준주택의 월세 계약 신고가 늘어나 월세 비율도 함께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또 임대차 3법 시행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기존 주택에 계속 거주하는 세입자가 늘어 전세 매물이 잠기고 집주인들이 4년 치 보증금 인상분을 한 번에 올려 받으려고 하면서 전셋값이 크게 오른 것도 전세의 월세화 현상을 부추긴 한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잇단 금리 인상으로 세입자들이 전세 대출을 받아 비싼 이자를 내느니 차라리 집주인에게 월세를 내는 편이 낫다고 여기는 분위기도 월세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65일코로나19 사태의 확산으로 전면 봉쇄됐던 중국의 ‘경제 수도’ 상하이가 봉쇄 시작 65일 만에 정상 회복에 나섰다.
상하이시는 6월 1일 오전 0시(현지 시간)를 기해 도시 봉쇄를 해제했다. 지난 3월 28일 봉쇄 시작 후 65일 만이다.
고위험·중위험 구역으로 지정된 곳을 뺀 일반 지역 시민은 자유롭게 주거 단지 밖에서 활동할 수 있고 자동차와 오토바이 등의 통행 제한도 없어졌다. 또 이날부터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원칙적으로 사무실·공장·상점 등을 다시 운영하는 등 정상적인 경제 활동을 할 수 있게 됐다.
인구 2500만 명의 초거대 도시인 상하이 경제가 완전히 멈춰 서면서 중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는 막대한 피해를 봤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정부가 연초에 정한 5.5%는커녕 우한 사태 충격으로 문화 대혁명이 끝난 1976년 이후 최악이던 2020년의 2.3%에도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21.3%한국의 5월 수출이 역대 둘째 규모를 기록했지만 에너지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무역 수지는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 1일 ‘5월 수출입 통계’를 발표하며 지난 5월 수출은 지난해 동월 대비 21.3% 증가한 615억2000만 달러, 수입은 32.0% 증가한 632억2000만 달러로 각각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무역 수지는 17억1000만 달러 적자를 보여 두 달 연속 적자가 이어졌다.
올해 들어 무역 수지는 1월 적자를 보였다가 2~3월 흑자로 돌아섰고 4월부터 다시 적자 전환됐다. 수출액은 5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고다. 기존 최고치인 지난해 5월(507억 달러) 실적을 100억 달러 이상 웃도는 것이다. 역대 월 기준으로는 올해 3월(638억 달러) 이후 둘째 규모다.
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