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플라자]
삼성-네이버, ‘애플 견제’ 위해 간편 결제 손잡아
삼성페이와 네이버페이가 애플페이에 맞서 ‘간편 결제 동맹’을 구축했다. 오프라인·온라인 결제 시장 강자가 맞손을 잡은 것은 이례적이다. 상반기 삼성페이는 온라인으로,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결제 시장으로 영역을 넓힌다. 2월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삼성페이와 네이버페이는 2월 20일 전략적 협업을 공식 발표했다.

삼성페이 이용자는 55만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등 네이버페이 온라인 주문형 가맹점에서 바로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다. 네이버페이 이용자는 삼성페이로 결제할 수 있는 300만 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스마트폰을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방식의 단말기에 갖다 대면 물건을 살 수 있다.

한지니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월렛팀장 부사장은 “네이버페이와의 협업을 통해 삼성페이 사용자들은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에서도 편리한 모바일 결제 경험을 누릴 수 있게 됐다”며 “두 회사 간 협력을 통해 모바일 결제 생태계 확대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가입자 약 3150만 명을 보유한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결제 시 QR코드 또는 바코드 방식을 거쳐야만 해 불편이 컸다. 또 현장 결제가 가능한 곳은 서울시 제로페이 가맹점과 전국 약 10만 개 가맹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페이가 2018년부터 오프라인 결제를 시작했지만 온라인 강자로만 남아 있는 이유다. 간편 결제 시장에서 오프라인 부문 1위·온라인 1위 업체의 협업은 애플페이 견제 목적이 강하다.

애플페이는 이르면 2월 말 한국에 출시된다. 한국의 18~29세 스마트폰 사용자 52%가 아이폰을 쓰고 있는 만큼 애플페이가 한국 결제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애플페이는 결제 방식상 빠르게 확대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있다.

현재 애플페이 사용에 필수인 비접촉 결제(EMV) 규격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단말기 국내 보급률이 5~1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