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부문 배출 허용량 810만톤 증가
에너지 전환 , 국제협력 사업으로 상쇄

정부가 21일 발표한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산업 부문 감축률은 14.5%에서 11.4%로 3.1% 축소된다. 이에 따라 산업 부문에서 2030년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는 2억2260만톤에서 2억370만톤으로 810만톤 늘어난다.
반면, 에너지 전환 부문은 배출량은 1억4990만톤에서 1억4590만톤으로 400만톤 감소한다. 수소 부문 배출량은 80만톤 증가하고 에너지 흡수 부문에서는 탄소포집과 활용 및 저장기술(CCUS)를 바탕으로 90만톤, 국제협력 감축사업으로 400만톤을 추가 감축한다.
사실상 산업 부문에서 추가 배출하는 810만톤을 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 국제 감축 사업으로 상쇄하는 셈이다.

에너지 전환 부문에서는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균형적인 에너지 믹스와 청정 에너지 전환을 통해 온실가스를 추가 감축한다. CCUS 부문에서는 국내 탄소저장소를 확대하여 온실가스 흡수량을 늘린다. 전력 계통망 및 저장체계 등 기반 구축과 시장 원리에 기반한 합리적인 에너지 요금체계를 마련해 수요 효율화도 추진한다.
수소 부문에서는 블루 수소 증가로 배출량이 일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건축,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흡수원 등 5개 부문은 기존 NDC 목표와 동일하게 유지한다.
정부는 이날 발표를 통해 탄소중립을 위해 향후 5년간 89.9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제로에너지 건축, 전기차 및 수소차 보조금 등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54.6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후적응 분야에는 19.4조원, 녹색산업 성장을 위한 예산으로는 6.5조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관계자는 "경제, 사회적 조건, 실행 가능성 등을 종합 고려하여 부문별 및 연도별 감축 목표와 수단 등을 결정한 것이 이번 정부안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기본계획안은 아직 미확정으로 정부는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 수렴 후 보완하기로 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기본계획 정부안을 바탕으로 오는 22일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승균 기자 csr@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