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은 '사라지는 지방, 지역 활력에서 답을 찾다' 보고서를 통해 경기도의 인구소멸 지역 확산에 대한 정보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인구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통계청이 올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에서 처음으로 사망자 수(7만8천990명)가 출생아 수(7만5천277명)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 현상이 나타나 인구 소멸이 우려된다고 발표했다.

연구원은 소멸 위기를 방어하는 정책 대응으로 ▲청년 로컬크리에이터 양성 ▲생활인구의 정책적 접근 ▲지역활력지수 운영 ▲행복담당관 설치 등을 제시했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시군별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해 고유 브랜드를 창출하고 정주 의식을 높이면서 지역 발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시군 간 경쟁적 관례를 해소하고 지역 활력의 관점에서 상호 발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다섯 배가 넘는 곳이고, 위험 지역은 두 배가 넘는 곳을 말한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