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계엄 해제 직후 ‘2차 계엄’ 발언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해제 직후 2차 계엄을 검토했다는 주장이 6일 국회에서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춘천갑)은 이날 여당이 불참한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해제 의결 이후 새벽 1시에 지휘통제소를 방문해 격노하며 2차 계엄 관련 발언을 했다는 제보가 있었다”며 “계엄 지휘통제소에 있던 관련 인력의 리스트와 상황일지 등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 의원은 이어 “계엄 당시 명령체계에 있던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정진팔 계엄사 부사령관(합참차장·중장)의 직무를 즉각 정지해야 한다”며 “9일 국방위원회를 열어 김용현 전 국방장관을 증인으로 채택하고 엄중히 단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성 장군 출신의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경기남양주을)은 “이번 계엄 사태의 실체는 윤석열 대통령, 김용현 전 장관, 여인형 방첩사령관 등 ‘충암고 3인방’이 내란을 지휘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행히 국회에 출동한 특전사령부와 수도방위사령부 군인들이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 절제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특전사령관과 수도방위사령관이 윤 대통령으로부터 출동 상황을 파악하는 전화를 받았다고 양심 선언을 했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국방위 소속 부승찬 의원은 “계엄 당시 대통령이 지휘통제실에서 ‘왜 국회 하나도 통제하지 못하느냐’며 격노했고, ‘모든 걸 책임질 테니 2차 발령을 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의견을 냈다는 첩보가 있다”며 “이후 약 2시간 동안 2차 계엄이 검토됐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이날 계엄 관련 주요 직위자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육사 48기),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육사 47기),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육사 48기) 등 육군 중장을 직무 정지했다. 여 중장은 국방부로, 곽 중장은 수도군단으로, 이 중장은 지상작전사령부로 각각 대기 조치됐다.

국방부검찰단은 계엄사령관이었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육사 46기·대장)을 포함한 공수여단장 3명과 대령 지휘관 3명 등 총 10명에 대해 법무부에 긴급 출국 금지를 신청했다.

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