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방산업계와 소식통들에 따르면 당초 타결이 임박했던 것으로 관측되던 K2 흑표 전차의 폴란드 추가 수출 계약의 연내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한 소식통은 "최근 폴란드 측 언급을 보면 급하게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태도로, 연말까지 계약 체결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2·3 계엄 사태 여파로 대통령의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불가능해져 외교·통상 등 정부 기능 공백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 간 거래(G2G)의 특성이 강한 방위산업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K-방산 수출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폴란드 정부는 '2차 계약' 일환으로 현대로템과 K2 전차 820대 추가 구매 협상을 막판 단계에서 진행 중이었다. 앞선 '1차 계약' 180대의 4배가 넘는 대규모 물량이다.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는 '2차 계약' 목표 820대 중 180대를 우선 직구입과 현지 생산 방식을 병행해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계약 금액은 약 9조원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방산업계는 지난 2022년 7월 폴란드와 '잭폿'에 비유되는 초대형 무기 수출 관련 기본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그해 8월 총 124억달러(약 17조원) 규모의 1차 계약 서명이 우선 이뤄졌다. 1차 계약에는 K2 전차 180대, K-9 자주포 212문, FA-50 경공격기 48대 등의 공급 계획이 담겼다.
이후 지난해 12월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 152문을 시작으로 2차 계약 차원의 개별 계약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는데 뜻밖에 한국의 국내 사정 탓에 '2차 계약' 중 가장 규모가 클 것으로 기대되던 K2 전차의 연내 수출 전망이 불투명해진 것이다.
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한국의 국정 혼란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 간 계약 성격이 강한 방산 수출이 국정 공백 사태로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당장 이번 계엄 사태의 여파로 최근 방한한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방문해 한국형 기동헬기 생산 현장을 둘러보려던 일정을 취소하고 조기 귀국했다.
K방산에 관심을 보였던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는 지난 5~7일 방한해 방산기업들과 비공개 면담을 추진하려던 일정을 취소했다.
이번 국정 공백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방산업계의 새로운 전략 시장으로 떠오른 중동 지역 수출과 한국 조선업체들의 대규모 수주 기회로 꼽혀온 폴란드의 오르카 프로젝트, 캐나다 잠수함 도입 사업(CPSP) 등에도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