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사진=한국경제신문
현대제철. 사진=한국경제신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3월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전면적으로 부과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백악관이 현대제철의 대미투자 사례를 모범 사례로 언급했다.

백악관은 11일(현지 시간) 배포한 보도 참고자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인 2018년 무역법 232조에 따라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나 일부 국가에 대한 예외 허용으로 해당 조치의 효율성이 약화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호주 등에 대한 면세 조치를 받았다고 언급한 뒤 "특정 국가에 대한 예외 허용으로 의도치 않은 구멍이 생겼다"며 이번에 전면적 조치를 취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로 철강·알루미늄 시장에서의 공정성이 회복될 것이라고 기대했으며 동시에 미국 내 철강·알루미늄 산업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정부 1기 때의 철강·알루미늄 관세로 "미국 전역에서 투자 붐이 일어났다"고 평가한 뒤 "최근 현대제철이 미국에 제철소 건설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발표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철강협회와 철강제조협회를 포함한 미국 철강업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을 칭찬했다"고 했다.

현대제철은 미국 남부에 전기로 방식의 제철소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올해 초 철강업계 신년 인사회에서 "미국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연내 부지를 확정한 뒤 2029년 제철소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제철소에서 자동차용 강판을 생산해 고객사에 납품한다는 구상이다.

앞서 백악관은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 등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한 뒤 비판 여론이 일자 지난 2일에도 배경설명자료를 통해 현대제철의 미국 공장 건설 검토에 대한 언론 보도를 비롯해 현대차그룹과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사례를 소개하며 관세부과를 적극 홍보한 바 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