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에게 부담줄 순 없지” 치매·간병보험 가파른 성장
고령화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치매·간병 수요 역시 가파르게 증가함에 따라 치매·간병보험 시장이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보험개발원 보험통계조회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생보사·손보사 합산 치매·간병보험의 초회보험료는 883억 6606만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519억 2560만원보다 70.2%나 늘었다.

특히 초회보험료 이후 두번째부터 보험 만기까지 계속 납입하는 계속보험료도 2조 835억 2787만원에서 2조 8318억 6662만원으로 약 36% 증가했다.

치매·간병보험 시장이 급성장하는 이유는 고령화 시대 진입에 따라 치매 환자가 증가하고 간병비 부담이 커지는 데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중앙치매센터가 집계한 지난해 기준 국내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 수는 105만명에 달했다. 2021년 기준 치매 환자의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은 2조 2000억원으로 5년간 34.8% 증가했다.

국내 연간 사적 간병비 지출 규모는 2018년 8조원을 넘었고 2025년에는 10조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이 커지면서 기회요인이 생김에 따라 보험사들은 역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기존에는 중증 치매 위주의 보장이 많았으나 경도인지장애나 최경증 치매까지 보장하고 검사비·약물 치료비 등 보장 내용도 다양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고령화에 따른 수요 증가와 보험사의 보장성 보험 강화 기조가 맞물리면서 다양한 특약 개발이 이어지는 등 시장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