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한 후 잠실, 대치 등 부동산 시장이 기대감에 술렁이고 있다. 2025.02.13 사진=한경 최혁 기자
서울시가 지난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한 후 잠실, 대치 등 부동산 시장이 기대감에 술렁이고 있다. 2025.02.13 사진=한경 최혁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부동산 시장이 활황이던 2018년 이래 최대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둘째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0% 상승했다.

서울의 아파트값은 2월 첫째·둘째주 0.02% → 2월 셋째주 0.06% → 2월 넷째주 0.11% → 3월 첫째주 0.14% 등으로 상승폭을 계속 늘려나가고 있다.

강남 3구의 매맷값 급등이 서울 전체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시장 안팎의 분석이다.

이번주 송파구는 토허제 해제 최대 수혜지역으로 손꼽히는 잠실동 위주로 가격이 급등하며 전주 대비 0.72% 상승했다. 이는 2018년 2월 첫째주(0.76% 상승) 이후 7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강남구도 2018년 1월 넷째주(0.93%) 이후 가장 높은 0.69%의 상승률을 나타냈으며, 서초구도 2018년 1월 다섯째주(0.69%) 이후 가장 높은 0.62%의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시가 지난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한 후 잠실, 대치 등 부동산 시장이 기대감에 술렁이고 있다. 2025.02.13 사진=한경 최혁 기자
서울시가 지난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한 후 잠실, 대치 등 부동산 시장이 기대감에 술렁이고 있다. 2025.02.13 사진=한경 최혁 기자
강남 3구가 줄줄이 7년여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셈이다. 이에 따라 강남 3구에 강동구를 포함하는 동남권 지역의 매매가격지수는 0.58% 올랐다.

집값 상승세는 강남권에서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주변 지역으로도 확산하는 모습이다.
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성동구는 0.29% 오르며 전주(0.08%)보다 상승 폭을 키웠고 용산구(0.10%→0.23%), 마포구(0.11%→0.21%) 등도 나란히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난주 하락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도 보합(0.00%) 또는 상승 전환했다.

하락세를 이어가던 경기도도 보합 전환했다. 특히 과천이 0.71% 오르며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용인 수지구도 0.17% 올랐다.

인천은 0.05% 내리며 하락세를 지속했다. 송도가 있는 연수구(-0.12%) 등의 낙폭이 큰 편이었다.

5대 광역시(-0.07%), 세종(-0.14%), 8개도(-0.03%) 등이 모두 내리며 지방(-0.05%)은 하락, 서울과의 뚜렷한 온도 차를 나타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