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교원투어 여행이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5월 황금연휴 여행 트렌드는 ▲장거리 여행 선호 ▲동남아 가족 단위 여행 수요 집중 ▲중국 풍경구 여행지 강세 ▲일본 약세 등으로 분석됐다. 이는 오는 5월 1일~5월 6일 출발하는 여행 데이트를 기반으로 한 결과다.
올해 황금연휴에는 장거리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유럽이 전체 예약의 21.4%를 차지하며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로 꼽혔다. 특히 서유럽과 북유럽 예약 비중이 높았다. 이는 연휴에 연차를 붙여 긴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이 많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5월 첫 주는 근로자의 날, 어린이날,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까지 겹쳐 최장 6일까지 쉴 수 있다. 연차 없이도 4일 연속 휴가가 가능하고, 하루 연차를 사용하면 6일간의 연휴를 즐길 수 있다.
베트남(16.1%)이 2위에 올랐다. 자녀 동반 가족 여행객들이 대표 휴양지 나트랑과 다낭, 푸꾸옥 등을 여행지로 선택한 결과다. 이 가운데 나트랑과 푸꾸옥은 자유여행 상품 예약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고급 리조트에서 휴양을 즐기려는 가족 단위 고객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무비자 입국 시행 이후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중국(13.3%)이 3위를 차지했다. 특히 따뜻한 날씨와 맞물려 장자제, 백두산 등 자연 경관을 즐길 수 있는 풍경구 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반면 가족 단위 관광객은 동남아 지역에 몰리며, 상해, 청도, 대련 등 중국 도시 여행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예약률을 보였다.
이와 함께 동남아 인기 여행지 태국이 4위(12.7%), 다양한 연령층이 선호하는 대만이 5위(7.6%)를 기록했다.
그동안 한국인 대표 인기 여행지로 꼽혀온 일본(7.5%)은 6위를 기록했다. 엔화 강세가 신규 여행 수요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본은 예약 일부터 출발일까지의 기간(리드타임)이 짧은 편이라, 연휴 직전까지 신규 예약이 이어질 경우 순위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이 외에도 비교적 짧은 일정으로 관광을 즐길 수 있는 호주(5.3%)가 7위를 기록했다. 사이판(3.3%), 싱가포르(2.4%), 몽골(2.3%)도 각각 8~10위를 차지했다.
교원투어 관계자는 "이번 5월 황금연휴에는 연차 하루를 쓰면 최장 6일을 쉴 수 있는 만큼, 해외여행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며 "리드타임을 고려할 때 동남아와 중국, 일본, 대만 등 단거리 여행지를 중심으로 신규 예약이 집중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