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1세대에서 IMA 1호 도전까지…김성환 한투증권 대표의 확장 전략[2025 파워금융인30]](https://img.hankyung.com/photo/202504/AD.40315240.1.jpg)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는 지난해 업계 유일의 순이익 1조원을 기록하며 연임에 성공했다. ‘1조 클럽’ 입성 직후 그가 정조준한 다음 타깃은 종합투자계좌(IMA) 1호 사업자다.
부동산 PF 1세대에서 출발해 IB, 리테일, 전략기획까지 증권업 전 부문을 거친 김 대표는 2024년 취임 첫해부터 성적표를 확실히 써냈다.
지난해 한국투자증권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조2837억원, 순이익은 1조1189억원으로 두 지표 모두 업계 최고다. 특히 순이익 1조원을 넘긴 증권사는 한국투자증권이 유일하다.
브로커리지 부문은 해외주식 거래대금 증가에 힘입어 큰 폭으로 성장했고 개인 고객 금융상품 잔고는 67조8000억원, 전년 대비 약 14조원이 늘었다. 월평균 1조2000억원이 리테일 채널로 유입된 셈이다. 기업금융 부문도 활기를 되찾았다. IPO와 자금조달 시장 회복에 따라 관련 수익은 전년 대비 3.6배 늘었고 IB 이자 수익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숫자보다 더 많은 시장의 관심은 지금 ‘누가 IMA 1호 사업자가 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쏠려 있다. 김 대표는 이 질문에 누구보다 강한 의지를 보이는 인물이다.
IMA는 고객 예탁금을 기업금융 관련 자산 등 다양한 영역에 투자해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금융 상품으로 국내 증권사들이 골드만삭스, JP모간 같은 글로벌 IB로 성장하기 위해 갖춰야 할 사업 자격이다.
한국투자증권은 발행어음 인가를 가장 먼저 받아냈고 현재 잔고는 경쟁사 대비 2배 이상이다. 자본력과 운용 실적, 상품 다양성까지 갖춘 한국투자증권은 IMA 사업자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김성환 대표가 그리고 있는 그림은 ‘글로벌 IB로의 성장 경로’다. 김성환 대표도 최근 인터뷰에서 IMA 사업자로 지정 시 “IB(기업금융) 부문의 활성화가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회사의 몸집이 커지면 글로벌 경쟁력도 향상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