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크루트가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 퇴사에 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은 '1~3년'이 60.9%로 가장 많았다. '4개월~1년 미만'은 32.9%, '3개월 이하'는 6.3%로 나타났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이유 1위는 58.9%로 ‘직무 적합성 불일치’였다. 2위는 42.5%로 '낮은 연봉', 3위는 26.6%로 '맞지 않은 사내 문화의 이유'를 꼽았다. 그 외 '상사 및 동료 인간 관계'(23.4%), '워라밸 부족'(17.1%)등으로 나타났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가 조직의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80.5%가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다. 19.5%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신입사원 1명 기준으로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전 과정의 채용 비용을 물었다. 1위는 '50만원 이하'(35.9%), 2위는 '300만원 초과'(21.5%)였다. 이는 기업마다 채용 비용의 격차가 크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인사 담당자의 34.5%만이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문제가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 이를 해결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고 인크루트는 분석했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 중인 프로그램으로는 '장려금 및 포상 휴가 지급'(52.6%), '멘토링 제도 운영'(38.3%), '온보딩 프로그램 운영'(37.0%) 등이 꼽혔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