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스틴베스트 분석… “지배구조 우수한 펀드, 단기 수익률도 양호”

[한경ESG] 이슈
2024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펀드 포트폴리오 ESG 점수 상위 10개 ESG 펀드. 이미지=서스틴베스트
2024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펀드 포트폴리오 ESG 점수 상위 10개 ESG 펀드. 이미지=서스틴베스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가 우수한 펀드일수록 위험 대비 성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ESG 평가 전문기관 서스틴베스트는 13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ESG 펀드 보고서’에서 국내 ESG 펀드 시장 동향과 수익률·위험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집중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주식형 ESG 펀드 54개를 분석한 결과, ESG 점수가 높은 상위 그룹이 중위·하위 그룹 대비 위험조정수익률(샤프비율)이 높고 최대 낙폭(MDD)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지배구조(G) 점수는 최근 6개월 수익률과 1년 위험조정수익률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단기 성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최보경 선임연구원과 장명주 연구원은 “ESG 요소를 고려한 투자전략이 중·장기적 하방 리스크 관리에 효과적”이라며 “ESG 성과별 그룹 간 수익률 분석 결과는 ESG 전략의 실효성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ESG 펀드의 ESG 평균 점수는 2021년 이후 지속 상승하고 있다. 2024년 하반기 국내주식형 ESG 펀드의 ESG 점수 중앙값은 82.01점으로, 전반기 대비 0.51점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81.66점, 비ESG펀드는 80.54점에 머물렀다. 특히 액티브형 펀드와 ESG 통합(integration) 전략을 사용하는 펀드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ESG 펀드의 평균 위험지표 역시 비ESG 펀드 대비 안정적이었다. 6개월, 1년, 3년 기간에 걸쳐 샤프비율은 전반적으로 ESG 펀드가 우세했고, MDD는 더 낮았다. 펀드 유형별로는 국내주식형 패시브와 국내채권형 액티브 ESG 펀드의 1년·3년 수익률이 코스피와 비ESG 펀드를 모두 상회했다.

보고서는 또한 ESG 펀드들이 국제 규범을 위반하는 기업을 제외하는 규범기반 스크리닝(Norm-based Screening) 전략을 얼마나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도 분석했다. 국내 주식형 ESG 펀드 54개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코스피 및 비ESG 펀드보다 규범위반 기업에 대한 노출도가 낮았다.

2024년 하반기 국내 ESG 펀드 순자산은 6조 8411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9% 증가했다. 특히 채권형 ESG 펀드로 자금 유입이 집중됐다. 같은 기간 중 국내주식형 ESG 펀드 4개는 50억원 이상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이 중 한국밸류지속성장ESG펀드는 코스피 대비 낙폭이 적었다.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는 “ESG 투자 전략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ESG 정보의 신뢰성과 비교 가능성이 담보돼야 한다”며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이 도입되면 ESG 기반 전략의 정교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균 한경ESG 기자 cs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