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후보 캠프와 친한계 인사들은 권 원내대표의 사퇴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김 후보 본인은 선거를 앞둔 계파 갈등 확산을 우려해 이를 제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김문수 캠프의 김행 시민사회총괄단장은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후보 교체 시도가 무산된 뒤 캠프 내부에서는 ‘쌍권(권영세·권성동)’에 대한 징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분명히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김 후보가 선거가 급하니 일단 덮자며 말렸다”며 김 후보의 지시에 따라 당내 갈등이 겉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김 단장은 또 “당연히 (권 원내대표가) 물러날 줄 알았지만 유세 현장에 나와 그대로 활동하고 있어 마음이 복잡하다”고도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최근 대구에서 열린 김 후보 지원 유세에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한계로 분류되는 정성국 의원도 같은 날 해당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후보 교체 시도에 책임이 없다는 건 말이 안 된다”며 권 원내대표의 사퇴론에 힘을 보탰다.
그는 “이번 일을 그냥 넘긴다면, 앞으로 어떤 사안도 버티기만 하면 면죄부를 받는 선례를 남기게 된다”고 경고했다.
정 의원은 “김문수 후보가 절박한 상황이라 인내하고 있는 것”이라면서도 “대선 이후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논란은 김문수 후보로의 단일화가 확정된 이후에도 당내에서 대선후보 교체 시도에 대한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국민의힘 내부의 계파 갈등과 리더십 공백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른 상황이다.
당 지도부는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으며 권성동 원내대표 본인도 이번 사안에 대해 공개적인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