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비금융기업 268곳을 대상으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 SK하이닉스는 800점 만점에 최고점인 622.9점을 받아 종합 1위에 올랐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한 500대 기업 경영 평가는 CEO스코어가 매년 국내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고속성장, 투자, 글로벌 경쟁력 등 8개 부문을 평가해 발표하는 것으로, SK하이닉스가 1위를 차지한 것은 2019년 이후 6년 만이다.
SK하이닉스는 고속성장, 투자, 건실경영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1위로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올해 종합점수 596.0점으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2위에 선정됐다.
투자, 글로벌경쟁력, 건실경영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종합점수 590.0점으로 지난해 5위에서 2단계 상승한 3위에 올랐다.
기아는 투자, 글로벌경쟁력, 건실경영 부문에서 좋은 평가를 획득하며 종합점수 572.7점으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4위에 선정됐다.
지난해 1위를 차지했던 현대자동차는 올해 559.5점으로 종합순위 5위를 기록했다. 현대자동차는 2023년 실적이 전년비 큰 폭으로 성장했으나, 지난해 증가폭이 감소한 탓에 순위가 떨어졌다.

투자 부문 상위 5위 기업은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가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설비 투자에 53조7416억원, R&D 투자에 35조215억원씩 투자에 총 88조7631억원을 쏟았다. 이는 전체 조사대상 기업 중 투자 총액 기준으로 최대치다. 투자액이 두 번째로 많은 SK하이닉스의 지난해 투자액(21조6170억원)의 4.1배에 해당한다.
글로벌 1위 기업 대비 매출액 비중 등을 비교·산정한 글로벌 경쟁력 부문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아, 현대차, 셀트리온, HMM이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지난해 매출액은 중국 최대 의약 기업이자 세계 10대 제약사인 시노팜의 4.1% 수준에 불과했지만 영업이익률은 26.2%포인트 높았다. 기아도 완성차 업계 1위 폭스바겐과 비교해 매출은 22.4% 수준이었지만 영업이익률은 5.9%포인트 높았다.
지배구조 투명 부문 우수기업에는 HD현대건설기계, 케이티앤지, 카카오, 삼성물산, 삼성전자, 유한양행이 이름을 올렸고, 건실경영 부문에서는 크래프톤, 오리온, 기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HMM이 우수기업으로 뽑혔다.
일자리 창출 부문에서는 현대케피코, 에쓰오일(S-OIL), 코스맥스, 한일시멘트, SJG세종이 선정됐다. 양성평등 부문에서는 한세실업, 영원무역, 삼양식품, 현대케피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각각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 사회공헌·환경보호 부문에서는 HD현대건설기계, SK케미칼, 한일시멘트, HD현대케미칼, LS전선이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