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참여 10명 중 4명 주 4.5일제 '긍정적'

'주 4.5일제' 찬성하십니까?
국민 10명 중 4명은 주 4.5일제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는 전국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새정부 출범에 따른 국민 여론 조사’를 실시하고, 주 4.5일제 도입, 청년 정책, 소상공인 지원, 사회 통합 등 주요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국민의 견해는 긍정 응답이 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인 시각은 25.5%, 입장을 유보한 ‘중립’은 36.6%로 나타났다.

주 4.5일제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들이 가장 기대하는 점은 ‘일과 삶의 균형 향상’(64.0%)으로 나타났다. 이어 ‘직무 만족도 및 근무 환경 개선’(14.6%),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13.4%), ‘청년 고용 기회 확대’(7.6%) 등의 항목이 뒤를 이었다.

반면, 우려되는 점으로는 ‘소득 감소 또는 근무시간 축소에 따른 부담’(29.4%)이 가장 높았고, ‘생산성 저하 및 업무 공백 발생’(25.4%), ‘업종·직군 간 형평성 문제’(24.0%), ‘현실성 부족 또는 시기상조’(20.5%)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특히 20대와 50대 응답자 사이에서 ‘소득 감소 또는 근무시간 축소에 따른 부담에 대한 우려’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새 정부에 대한 기대되는 항목으로 ‘일할 권리와 기회 확대’(36.7%)로 나타났다. 이는 구직급여 신설, 구직활동지원금, 직업교육 프로그램 등 노동 시장 진입 관련 정책들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다. 이어 ‘청년 주거 지원’(20.7%), ‘청년 자산 형성 지원’(14.8%), ‘생활 안전망 구축’(13.7%) 순으로 나타났으며,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14.1%에 달했다.

피앰아이 관계자는 “정책 도입과 관련된 인식은 연령별·이해관계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국민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확인됐다”며 “향후 정책 설계 시 국민 체감과 세대 간 수용성의 균형을 고려한 접근이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