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5년 6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에서 “내수 회복 지연과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특히 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 전반의 회복세가 더딘 가운데 고용 역시 일부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4월 산업 활동 지표는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0.9% 감소했고 서비스업은 0.1%, 건설업은 0.7% 줄었다.
이에 따라 전 산업 생산은 0.8% 하락했으며 소매판매와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도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수출도 주춤했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줄었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1.0% 증가해 부분적인 회복 조짐도 나타났다.
고용지표는 다소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24만 5000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2.8%로 낮아졌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는 경기 반등을 위한 신속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과 미국 관세 대응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재부는 “경기 회복과 소비 활성화, 취약계층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추경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우리 기업 피해에도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