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60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이하, 경활률)은 49.4%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9년 이래 최고치다. 같은 달 청년층 경활률은 49.5%로, 양측 격차는 불과 0.1%포인트에 불과하다.
노인층 경활률은 2011년 이후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했으며 최근 5년간 상승폭은 4.6%포인트로 같은 기간 전체(15세 이상) 경활률 상승폭의 두 배에 가깝다.
특히 전국 17개 시도 중 절반이 넘는 10개 지역에서는 이미 60세 이상 경활률이 청년층을 추월한 상태다.
반면 청년층은 ‘쉬었음’ 인구 증가 등으로 구직 시장에서 이탈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제조업 및 건설업 등 양질의 일자리 감소와 대기업 중심의 경력직 채용 선호 등이 청년층 경활률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로 해석한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청년층은 구직을 포기하는 반면 고령층은 생계유지 등을 이유로 노동시장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다”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고령층의 경제활동 증가를 단순히 긍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 상당수 고령층의 경제활동은 생계형 노동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38.2%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또한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평균 월 연금 소득은 80만원으로 2024년 기준 1인 가구 최저 생계비(134만원)에 못 미친다.
고용의 질도 문제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8월 기준 281만2000명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고령층의 ‘노동시장 주류화’는 한국 사회가 마주한 복합적인 경제·사회적 구조 문제를 드러내는 지표로 평가되고 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