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OECD가 집계한 실질 구매력 평가(PPP) 기반 물가 수준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 및 비(非)주류 음료 가격 지수는 2023년 기준 147로 OECD 평균인 100을 47% 웃돌았다. PPP 기반 물가 수준은 국가마다 다른 경제 규모·환율 등 변수를 보정해 각국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데 활용되는 지표다.
조사 대상인 OECD 38개국 중 식료품·음료 물가가 한국보다 높은 국가는 스위스(163) 1곳뿐이었다. 대표적 고물가 국가인 아이슬란드조차도 145였으며 일본 126, 독일 107, 미국 94 등 모두 한국보다 식료품 부문 물가 부담이 덜했다.
특히 육류 물가 지수가 198로 OECD 평균 2배에 달했다. 한국의 의복·신발 등 의류 부문 물가지수 역시 137로 OECD 평균을 한참 웃돌았다.
다만 한국은 소비 전반을 포괄하는 가계 최종 소비(HFC) 지수에서는 85로 OECD 평균을 밑돌았다. 주거·수도·전력(61) 건강(53) 교통(80) 등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OECD 평균보다 물가 부담이 크게 낮았기 때문이다.
먹거리 물가 상승 속도는 전체 물가 상승 속도보다 빨라 국민이 체감하는 부담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연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전체 물가는 16.0% 올랐지만 구입 빈도가 잦고 지출 비중이 큰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이보다 높은 19.1%를 기록했다.
특히 식품 물가와 외식 물가는 같은 기간 각각 25.0%, 23.4%씩 치솟았다. 2020년부터 지난달까지 39개 외식 품목 중 김밥(38%), 햄버거(37%)를 포함해 9개 품목의 물가상승률이 30%를 넘겼다.
정부는 범부처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해 내놓을 계획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최근 가격이 오른 품목들을 포함해 전반적으로 물가 상황을 들여다보고 있다”며 “장·단기 기간별 대책도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라면 가격을 짚으며 물가 관리를 지시한 바 있다.
조수아 인턴기자 joshua@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