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모습. 사진=김범준 한국경제신문 기자
여의도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모습. 사진=김범준 한국경제신문 기자
서울과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과열 양상을 나타내면서 금융당국이 은행권 부행장들을 소집했다. 은행권을 통한 대출 규제는 집을 사려는 수요자들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꼽힌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후 3시 금감원 본원에서 20개 은행 가계대출 담당 부행장들을 소집해 비공개 회의를 진행했다.

각 시중은행이 월·분기별 대출 공급 계획을 초과해 무분별하게 공급하지는 않았는지 확인하고 공격적인 주택담보대출 영업에 나선 은행들에 ‘경고장’을 날리려는 차원이다. 특히 당국은 NH농협은행과 SC제일은행에서 연초 대비 2조원 가까운 가계대출 증가가 이뤄졌다고 보고 있다. 당국은 이 은행들을 대상으로 이달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별도의 세부 관리 계획도 제출받을 예정이다.

최근 일부 은행은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30년에서 40년으로 늘려 대출 한도를 늘려주고 ‘갭 투자(전세 끼고 매입 대출)’ 악용 우려로 서울 지역에 한해 막아뒀던 조건부 전세 대출도 다시 취급하기 시작했다.

가계대출 잔액은 무섭게 불어나고 있다.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원 증가했다.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들어 9영업일 만에 2조7609억원 급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이달에는 7조원을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